시장가 주문 보장
가. 가격지정방법에 따른 구분
1. Market Order(Market price order, 시장가 주문, 성립가 주문)
- "You cant be certain of the price you will get until you receive your execution report.
But Market order guarantees you will get the stock(contract)
- 투자자가 특정 가격을 지정하지 않고, 현재 시장에서 가장 유리한 가격조건 또는
시장에서 형성되고 있는 가격으로 매매를 요구하는 주문 방법
- 현재의 시장 가격으로 가능한 신속한 매매 체결을 원할때 사용
- 거래 체결이 신속한 반면 시황이 급변하는 경우 시차상의 문제로 고객의 기대와 어긋나게
주문이 집행될 위험이 있음
- 시장가 주문은 주문가격을 명시하지 않기 때문에 매매는 지정가 주문에 우선하여 체결됨.
2. Limit Order(지정가 주문)
- 특정가격을 시장가 주문 보장 지정하여 그 가격이나 그 보다 유리한 가격으로 매매 할 것을 지시하는 주문
- 투자자가 증권회사에게 최고 매입가격 또는 최저 매도가격을 지정해 주는 주문방법
- 매수의 경우는 특정 제시가가격이나 그 이하로, 매도 주문의 경우는 특정 제시가격이나 그 이상으로 주문
- 시장가 주문보다 체결 순서가 늦음
3. Conditional limit order(조건부 지정가 주문)
- 지정가 주문이 종가 결정전까지 체결되지 않는 경우 미체결 잔량에 대해서 종가 결정 시에
시장가 호가로 참여하는 조건부 형태의 지정가 주문
4. Stop Order(역지정가 주문)
- 주로 이미 보유하고 있는 포지션의 손실 제한이 목적
- 매도주문은 [향후 시장가격이 더 하락하리라 예상시[ 지정가격을 시장가격보다 낮게
매수주문은 [향후 시장가격 더 상승히라라 예상시] 지정가격을 시장가격보다 높게
- 매수 및 매도주문시 지정가 주문과 반대의 효과 발생(역지정가)
5. Stop Limit Order(Stop + Limit Order)
- Stop order 와 Limit Order가 결합된 주문 방식
- 주문처리 조건은 Stop Order와 같지만 고객이 저장한 가격이상을 벗어날 수 없는 주문
6. MIT(Market if Touched)
- 시장가 주문과 지정가 주문을 혼합한 형태의 주문
- Stop Order가 현재가격보다 불리한 가격을 지정하는 데 비해,
MIT Order는 현재가격 보다 유리한 가격을 지정
7. 최유리호가
- 매수주문은 매도 최우선호가가격에 매도 주문은 매수 최우선호가격에 자동적으로 주문.
- 투자자가 상대 최우선호가를 확인하지 않고도 그 가격에 즉시 체결되어 가격추적 및 취소 정정이 필요 없음.
- 종목 및 수량만 입력하고 가격은 입력하지 않음.
8. 최우선호가
- 동일 방향의 최우선호가에 자동적으로 주문 (매수주문하는 경우 매수)
- 투자자가 상대 최우선 호가를 확인하지 않고도 그 가격에 즉시 체결되어 가격 추적 및 취소 정정이 필요없음.
나. 체결수량 조건에 따른 구분
1. FOK (Fill 시장가 주문 보장 or Kill, 전량조건)
- 주문전달 즉시 주문전량이 체결 가능하면 전량을 체결하고 아니면 주문전량이 자동취소되는 주문
2. FAK (Fill and Kill, 충족조건)
- 주문 전달 즉시 체결 가능 수량은 체결하고 미체결 잔량은 취소
- Immediate or cancelled(IOC), Quick Order 라고도 함
3. FAS(Fill and Store)
- 주문 전달 즉시 체결 가능 수량은 체결하고, 미체결젠량은 당일 잦중동안 주문장에 체결 대기시키되,
장 종료후의 미체결 주문은 모두 취소됨.
1. Combination Order(복합주문)
- 복수의 상이한 종목을 동시에 체결시킬 것을 조건으로 하여 복수의 종목으로 구성된 종목
- 정형복합주문 : 거래소가 정하는 종목들로 구성된 복합 주문
비정형복합주문 : 거래소가 정하는 종목들이 아닌 회원이 정하는 종목들로 구성된 복합주문)
- 복합주문의 가격은 그 구성 종목들의 순가격으로 함.
- 예) 옵션 거래시 강세, 약세, 스트랭글등의 복합투자전략을 사용할 경우 여러 복합주문을 마치
단일 주문처럼 동시에 사용하는 주문.
2. 시간제한주문
- 주문시 특정한 시간을 지정하여 그 시간내에 주문이 체결되거나 그 시간동안에 주문이 유효하도록 하는 주문
- 시장가 주문, 가격제한 주문, Stop 주문, Stop-limit 주문, MIT 주문등과 동시에 결합하여 사용할수 있음
Good till canceled : 취소전까지 유효 / Good till week : 일주일간 유효 / Good till month : 한달간 유효
Day order : 조건이 없을 때 당일만 유효
3. Open or Close Order
- 개장 또는 종장 시간대에 거래를 체결 할 것을 요구하는 주문 방식
4. OCO(one cancels the other) Order
- 하나의 주문이 체결되면 다른 주문은 취소하라는 주문방식
5. Contingent Order
- 접수된 두개의 주문 중 하나의 시장가 주문 보장 주문 집행을 전제로 다른 주문이 유효하게 되는 복합 주문 유형
6. Scale Order
- 대량 주문시에 쓸 수 있는 주문방식으로 첫 거래에서 형성된 가격비율(price scale)에 따라
시간차를 두고 추가적인 매입 또는 매도를 요구하는 주문
- 예를 들어 최초 매입가격에서 90%로 떨어지면 매입, 110%되면 매도
Adidas manager
주식왕초보 주식주문하는 방법 - 주식 거래 시간, 주식 사는 법, 주식 용어 정리
주식을 하기로 마음먹고 여유자금도 준비해두고 주식계좌도 개설하여도 HTS, MTS를 실행시키고 아무리 들여다봐도 주식 용어 대해서 잘 모른다면 쉽사리 주식을 주문할 수 없으며, 설령 주문하더라도 용어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다면 급격하게 변하는 주가 시장가 주문 보장 시장의 흐름에 대처하기 힘들 것입니다. 주식투자 매매주문을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실제로 주문을 할 때 당황하지 않고 자신 있게 할 수 있도록 각 주문의 장단점도 잘 알아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개인투자자들이 주식을 사는 방법은 고객센터에 문의를 하거나, 증권사 영업점 방문이나 전화, HTS ( Home 시장가 주문 보장 Trading System)이나 모바일로 쉽게 주식 거래를 할수 있는 각 증권사의 MTS(Mobile Treding System)이 있습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증권사 영업점에서 주식 전광판만 쳐다보면서 증시 추이를 확인하였는데, 최근에는 증권사 프로그램이 너무 간편하게 되어있어 HTS나, MTS로 언제 어디서든 PC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증시를 시장가 주문 보장 파악하고 주식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직접 증권사나 은행을 가지 않더라도 핸드폰으로 비대면주식계좌 개설이 가능하여 HTS, MTS에 등록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주식 주문하는 방법의 종류
1) 시장가주문
시장가주문이란 투자자들이 종목이나 수량을 지정하되 가격은 지정하지 않고 주문하여 투자자들이 지정한 가격이나 그 가격보다 유리한 가격으로 매매가 이루어지는 주문을 말합니다. 즉 현재 시장에서 형성되는 금액으로 바로 매매거래를 하는 주문 방법입니다. 시장가주문의 가격은 주문 수량이 모두 매매될 때까지 재산정됩니다.
예를 들어 본인이 A기업 30주를 매수할 것을 시장가주문한다면 시장에서 15,000원에 매도하려는 사람이 있다면 15,000원에 매수하게 되고, 16,000원에 매도하려는 사람이 있다면 16,000원에 매수하게 됩니다.
시장가주문의 장점은 매매거래가 빠르게 이루어진다는 것이지만, 단점으로는 상대방 주문 충분하지 못한 상황에서는 현재 가격과 현저히 괴리된 가격을 체결될 위험이 있다는 것입니다. 시장 상황에 따라서 주문 체결 가격이 다르게 측정되기 때문에 시장가주문은 이 주식이 꼭 필요하다가 확신할 때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2) 지정가 주문
지정가 주문이란 매매체결 여부보다 매수 가격을 우선적으로 생각하고 내는 주문 방법이며 내가 가격대를 지정해놓고 매수 지정가 주문은 내면 그 가격보다 높은 가격으로는 절대 매매되지 않으며 낮은 가격으로 매매되고, 매도 지정가 주문을 내면 그 가격보다 저렴한 가격에 매매되는 경우가 없으며 투자자가 지정한 가겨보다 높은 가격으로만 매매거래가 간으합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가 매수 지정가 주문이 13,000원이라면 13,000원 보다 낮은 금액으로 매매체결이 이루어지고, 매도 지정 주문이 12,000원이라면 12,000원 보다 더 높은 가격으로 매매체결이 이루어집니다.
지정가 주문의 장점은 투자자가 지정한 가격보다 불리한 조건으로 매매 체결되지 않는 것이고, 단점으로는 동일한 가격에 부합하는 상대 주문이 없다면 상대 주문이 유입될 때까지 매매체결이 되지 안 된다는 것입니다.
3) 조건부지정가 주문
조건부지정가 시장가 주문 보장 주문이란 지정가 주문과 시장과주문은 합친 개념으로 생각하시면됩니다. 주식거래시간 동안에는 지정가주문과 같은 방식으로 가격 보장기능이 유지되지만 종가 단일가매매(동시호가매매) 개시 전까지도 매매가 성사되지 않는다면 시간의 시장가주문으로 자동 전환되는 매매체결이 성사되는 주문 방법입니다. 따라서 매매가 성사되지 않으면 그날의 종가로 매매됩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가 본인이 꼭 매수하고 싶은 A라는 기업의 주식을 1주에 254,000으로 지정가 주문을 했는데 장 마감 직전까지 254,000에서 떨어지지 않는다면 장이 마감되어도 주식을 매수하지 못할 확률이 높습니다.
하지만 253,000으로 조건부지정가 주문으로 한다면 만약 장 마감 직전까지 매수가 되지 않는다면 장 마감 직전에 자동으로 시장가 주문으로 바뀌어서 254,500원에 매수가 가능하게 됩니다.
개인 사정으로 장중 시세를 계속해서 모니터링을 할 수 없는 투자자들이 이용하기에 알맞은 주문 방법이며, 저렴하게 사고 싶고, 오늘 어떻게든 매수하고 싶을 때 조건부지정가로 주문을 한다면 유리합니다.
4) 최유리 지정가 주문
최유리 지정가 주문이란 투자자가 매수와 매도를 할 때 상대방이 내놓은 주문 중에 가장 유리한 조건을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그 가격으로 주문이 체결되도록 하는 주문방식입니다. 주식을 구매할 때는 최대한 낮은 가격인 최우선 매도호가 가격으로 매수하고, 판매할 때는 최대한 높은 가격인 최우선 매수호가로 매도하게 됩니다. 하지만 투자자에게 유리한 가격이지만, 만약 투자자가 많은 물량의 주식을 매각하여야 할 때는 전량 처리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5) 최우선 지정가 주문
최우선 지정가 주문이란 최유리 지정가 주문이 와 정반대로 매수의 경우 가장 높은 가격의 매수호가를, 매도할 경우에는 가장 낮은 매도호가로 거래되는 주문방식입니다. 즉, 주식을 구매할 때는 최고가로 매수하고, 판매할 때는 최저가로 매도한다는 것인데요, 이런 손해 보는 주문을 하는 이유는 투자자가 가지고 있는 많은 물량을 최대한 빠르게 주문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주문방법입니다. 비싸게 사거나, 저렴하게 시장가 주문 보장 팔아버려도 상관없으니, 최우선적으로 빠르게 주문하고 싶을때 사용하면 됩니다.
** IOC (IMMEDIATE OR CANCEL)
얼마 전까지만 해도 IOC와 FOK주문은 PC 프로그램인 HTS에서만 기능이 지원되었으나 요즘에는 모바일 프로그램 MTS에서도 IOC와 FOK를 추가 주문 조건을 지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IOC란 Immediate or Cancel의 약자이며 주문 즉시 체결과 잔량은 자동 취소하는 조건을 명칭 합니다. 호가 접수 시점에서 주문한 수량 중에서 체결 가능한 수량에 대해선 매매체결을 시켜주고 체결이 되지 않는 수량이 있다면 취소하는 조건입니다.
** FOK (FILL or KILL)]
FOK란 주문 즉시 전부 체결하는 것이며, 그렇지 않다면 모두 자동으로 취소하는 주문 조건입니다. 호가접수 시점에서 주문했던 모든 수량을 체결할 수 있는 경우라면 체결시키고, 그렇지 않다면 모든 수량을 취소해버리는 조건입니다.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시간은 AM 09:00 ~ PM 15:30까지입니다. 이 시간을 정규장 시간이라고 합니다. 주식시장이 열리기 전후에도 거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거래 방식이 정규 장시간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 장외 거래시간은 AM 08:30 ~ PM 08:40이며 거래 방법은 주문 가격을 별도로 제시할 필요가 없으며 매매 유형에서 장 전이나 후 시간 외를 선택하여서 주문 수량만 따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장외거래는 변동성이 크게 없다는 게 장점이며 만약 거래가 체결되지 않는다면 그 거래는 미체결로 끝납니다. 미체결된 거래는 취소되니 그다음 날에 다시 주문을 하셔야 합니다.
- 시간 외 단일가 거래는 PM 16:00 ~ 18:00 사이에서 거래가 가능한 것이며 10%의 가격 범위 안에서 개인투자자들에게 추가로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Stop-Limit 주문의 기본 시장가 주문 보장 이해
손실을 제한하거나 이익을 얻는 데 투자자와 거래자가 사용하는 많은 기법이 있습니다. 정지 제한 명령은 그러한 기술 중 하나입니다. stop-limit order는 stop-order와 limit-order의 하이브리드이며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있는 두 가지 기술입니다.
Stop-Loss Order라고도하는 정지 주문은 손실 범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주문은 일단 정해진 가격에 도달하고 주문이 시장 가격으로 채워지면 실행 가능하게됩니다. 반면에, 특정 가격 이상으로 구매 또는 판매하는 주문은 제한 주문입니다. 이러한 주문은 주식의 시장 가격이 설정된 한도에 도달하면 채워질 수 있습니다.
스톱 제한 주문은 두 가지 기술을 결합한 것이므로 주문시 두 가지 가격을 입력해야합니다 : 중지 가격과 한도 가격. 매매가가 정지 가격에 도달하거나 지나갈 때, 현행 시장 가격 (매도 주문의 경우처럼)에서 실행 가능하게되는 대신, 중지 주문은 한도 주문으로 변환됩니다. 이제 시장가 주문 보장 이러한 주문은 지정된 사전 가격 또는 더 나은 가격으로 만 실행됩니다.
정지 제한 주문의 예를 살펴 보겠습니다. XYZ Ltd가 현재 $ 40에 거래하고 있다고 가정 해 봅시다. 00. 투자자가 39 달러에 도달하거나 39 달러를 밑도는 경우 주식을 팔고 싶습니다. 00,하지만 38 달러에 팔릴 수있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00 이상. 여기에서 stop-limit 주문은 정지 가격을 $ 39로 설정하여 이루어집니다. 00과 한계 가격은 $ 38입니다. 00. 주가가 39 달러 이하로 내려갈 때 주문은 38 달러의 한도 주문으로 전환됩니다.
로 판매 중지 주문을하려면 제한 가격이 중지 가격 이하 여야합니다. 구매 주문의 시장가 주문 보장 경우, 제한 가격은 중지 가격보다 같거나 커야합니다.
최종선
제한 기 주문은 투자자들에게 거래 실행의 정확성을 높여 주지만, 단점 명령은 실행을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투자자는 시장 진입 또는 퇴출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시장.
제한 주문의 실행이 보장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주가를 구매하기 위해 제한 주문을 사용하면 특정 가격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제한 주문의 메커니즘은 완전한 실행 기회를 줄일 수 있습니다.
정지 및 제한 주문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제한 주문은 특정 주식을 사고 팔 수있는 최대 또는 최소를 설정하는 순서입니다. 정지 주문을하면 매매하고자하는 증권이 특정 가격 (매도 가격)에 도달 한 경우에만 거래가 실행됩니다.
시장 질서와 제한 주문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시장 주문은 현재 주가로 거래를 실행하고 제한 주문은 주가가 일정한 현재 제한 내에있는 경우 거래를 실행합니다. 투자자가 주식을 매매하기 위해 주문할 때 "시장에"또는 "한도에"주문을하는 두 가지 기본 실행 옵션이 있습니다.
시스템 매매시 체결이 안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는지요
일단,
정상적으로 호가제공되고, 상하한가에 도달하지 않은 장상황에서 주문자체가 거부되는 상황(증거금부족,버그,오류 등)이 없는한,
시장가 주문이 미체결 되는 일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맨처음에 정의했다시피, 시장가 주문이라는 것은 '상한가로 매수하고 하한가로 매도'하는 주문입니다.
즉, 이미 상하한가에 도달한게 아닌한, 현재 매수매도 1호가부터 잔량을 차례로 체결해 나가는 겁니다.
그러므로 시장가 주문이 정상적으로 접수됐는데, 미체결이라는 상황은 아래의 상황 정도일겁니다.
- 이미 상하한가에 도달해 상대호가의 잔량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ex. 극외가 옵션 매도1호가가 0.01인 상황에서의 매도)
- 동시호가
- 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 등으로 인해 전체 장 매매가 중지된 상황.(동시호가로 처리됨)
- 주문금액이 몇백억대 되는 통에 해당종목의 상하한가로 쫙 밀어버려 잔량이 남는 상황
즉, 파생에서 지수선물이나 지수옵션 ATM에 가까운 종목에서,
몇억도 안되는 시장가 주문이 급등락이라고 해서 체결되지 않는 상황은 주문접수 거부외에는 거의 없다고 봐야하는거죠.
그런데 이 시장가 주문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아래에 이어서.
시장가 주문에는 '문제'가 있다고 위에서 얘기했는데요,
일단 선물만 하시면 '문제'는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옵션은 신경 써야하구요.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옵션 매수'.
맨처음 시장가 주문이라는 것은 '상하한가 주문'이라고 정의했습니다.
1.00~2.00 정도에 있는 옵션의 상한가가 일반적으로 얼만지 아시나요?
작게는 15.00, 많게는 30.00이 됩니다.
즉, 1.00의 상한가가 30.00이라면,
50만원짜리 1계약 주문하는데, 시장가 신규매수면 1500만원이 필요합니다.
30.00의 가격으로 1계약을 주문하니까요.
1계약 신규매도 증거금과 비슷한 금액이죠.(비슷한 정도가 아니라, 애초에 매도증거금이 저런식으로 산출됩니다. 정확하게는 조금 다르지만. )
물론 1.00에 체결되고 나면, 신규매수 주문가능금액은 1450만원이 남게됩니다.
이런식으로 시장가로의 신규매수와 신규매도는 증거금을 크게 요구하게 됩니다.
(체결이 현재가정도에 되면, 신규매수는 주문가능금액이 남지만, 신규매도는 안 남음)
그러므로,
옵션 신규매수를 원할때는, 증거금을 많이 넣고 작게 시장가 주문을 하든가,
아니면 시장가 없이 몇호가 위로 주문하도록 짜야합니다.
'청산'주문에는 그런 제약이 없구요. 청산시에는 맘대로 시장가 주문하면 됩니다.
그리고 선물은
몇년전부터 "당일 선물 증거금은 전일 기초자산 종가로 고정"이라는 법규가 제정되어있습니다.
즉, 상하한가로 주문을 해도 증거금은 당일에는 일정하다는 뜻이죠.
그러므로 선물만 하면,
시장가 마음대로 쓰면 되고요,
옵션신규매수에서만 따로 신경쓰면 됩니다.
옵션 1.00 한계약 매수하려고 1500만원을 준비하는 분은 거의 없을테니까요.
예스트레이더로 실거래 5년째하고 있는데, 위에 모로칸님께서 말씀해주신 일반적인 사항 말고
실전적으로 체결이 안되는 오류가 있어 간단히 올려드립니다.
1. SetStopEndofday() 함수를 사용할 경우 원인은 모르지만 가끔 주문이 안나가는 오류있습니다.
* 3번정도 증상확인하고 예스스탁에 문의 했으나 원인 못찾아서 함수 사용안하고, if stime > 150300 then 과 같이 로직으로 청산함.
2. 예스자동정정주문 기능사용시 원인 모르게 주문 안나가는 오류있습니다.
* 슬리피지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라 오래동안 사용했었는데.. 오류 원인을 예스스탁에서 못찾아 지금은 사용안하고 있습니다.
*** 원하시는 체결은 상대3호가로 설정해두면 제 5년 동안 경험시 한번도 미체결 된적이 없습니다.
선물에서도 상하한가(10%) 주문을 내려면 투자금액이 충분하지 않은경우 MDD 구간에서는
증거금 부족으로 주문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니 꼭 주의가 필요합니다. ^^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