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I지표 (빗썸에서 스토캐스틱 RSI 사용하는 방법)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5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BTC/USDT 1시간 봉

RSI 지표 보는법

안녕하세요 알뜰살뜰하게 코인에 투자하고 있는 알뜰살뜰러 입니다.

오늘은 매수 매도하기 전에 지표를 참고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빗썸 기준으로 원화는 코인을 클릭하세요

저는 리플 기준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리플 선택 -> 4시간 봉 -> 지표 클릭

2. 지표 검색에 스토캐스틱을 입력하고 아래 스토캐스틱 RSI를 클릭

3. 하단에 스토케스틱 RSI지표가 나옴

여기까지는 지표 추가이고 이제 언제 사고 언제 파는지 간단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지표가 하단에 있을 때 매수 하시고 상단에 있을때 매도하시면 됩니다.

RSI선을 보시면 빨간색과 파란색이 있습니다.

파란 색선이 빨간색선을 뚫고 올라오면 매수 RSI지표 (빗썸에서 스토캐스틱 RSI 사용하는 방법) 반대로 파란색선이 빨간색선 아래로 내려가면 매도를 하시면 됩니다.

지표를 하나씩 공부해 가면서 자기만의 지표분석을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보통 4시간을 기준으로 일봉 주봉을 함께 보는데 100% 맞지 않습니다. 그래도 어느 정도는 참고할만한 지표라고 생각됩니다.

스토캐스틱RSI가 뭔지 궁금하신분은 아래링크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Stochastic RSI란 무엇인가요? | Binance Academy

Stochastic RSI를 통해 과매수, 과매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해당 지표는 단순 이동 평균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RSI 지표 보는법

마켓와치 닷컴은 무료로 일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RSI 등 몇 가지 정보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ome Page - MarketWatch

Federal officials stockpiled rifle ammunition and sought devices that included a "heat ray" to use against protesters in Washington's Lafayette Square in June, a National Guard whistleblower told lawmakers, according to the Washington Post. Citing sworn te

처음 접속을 하게 되면 아래화면이 보이게 됩니다.

우선 챠트 설정이란 것을 해야 하는데요. 차트에서는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중 나에게 필요한 정보와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들을 설정하여 차트에 반영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저는 요즘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엔비디아 RSI지표 (빗썸에서 스토캐스틱 RSI 사용하는 방법) 주식으로 확인해보려고 합니다. 검색은 메인화면 우측상단에 돋보기 아이콘에 NVDA 입력하면 아래 화면이 보이게 됩니다.

아래 고급챠트 작성(Advanced Charting)을 선택해줍니다.

로우 챠트에서 상대 강도 지수인(RSI) 지수를 선택해줍니다.

그리고 마우스를 아래로 조금 내려보면 챠드 밑에 RSI라는 지표가 하나 생기게 됩니다. RSI지표를 통해서 과매수 구간인지 아니면 과매도 구간인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RSI지표는 50정도가 기준이며 지수가 70정도면 높은 수준입니다. 일부 테슬라와 애플같이 인기 종목은 스탁이 80 정도까지는 커버될 수 있기에 80이 넘어야 위험구간이라고 봅니다.

MACD는 두개의 지표로 보이며 파란색과 빨간색이며, 현재 스탁이 어떤 식으로 흘러갈지를 예상하는 지표입니다.

즉 파란색이 MACD이며, 빨간색은 SMA 50 이동평균선으로 파란선(MACD) 구간이 빨간 선(SMA)을 크로스 해서 위로 올라가면 상승장으로 전환되는 시기로 보면 됩니다. 반대로 빨간색(SMA) 밑으로 파란선(MACD)이 내려가게 되면 하락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표시입니다. 즉 이런 기준으로 주식을 살 수 있는 기회를 찾을 수 있습니다.

모멘텀은 주식시장에서 현재 시점에 주식을 어덯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그래프가 위로 올라갔다면 좋게 보는 구간이며 아래로 내려가고 있다면 하락 구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매수 구간을 어느 정도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위 표를 보면 RSI는 85로 과매수구간으로 위험한 구간임을 표시합니다. 로멘텀은 80.38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있습니다. MACD 지표는 상승구간에서 SMA지표와 맞닿아있습니다. 하락장의 예시를 들수 있는 구간입니다. 해당 지표를 다른 스탁을 대입하여 자신의 매수구간을 확인해 보시며 다음 매수 시기를 확인해보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즉 위에 안내한 세가지 지표를 통해서 과매수 구간인지 아닌지, 상승자인지 하락장인지, 사람들이 관심도는 어떤지에 대한 부분들을 통해 예상후 매수를 할 수 있는 타잉밍을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RSI 보조지표 활용법 2편 (히든 다이버전스, 과장된 다이버전스)

블로그 이미지

오늘은 보조지표 RSI 2편으로 히든 다이버전스와 과장된 다이버전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편을 못 보신 분들은 꼭 1편을 보고 와주시길 바랍니다.

RSI 보조지표 활용법 (일반 상승 다이버전스, 일반 하락 다이버전스)

안녕하세요 차트 분석하는 남자, 차분남입니다. 오늘은 보조지표 RSI (상대강도지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RSI의 기본 개념 상대강도지수 (Relative Strength Index)의 약자입니다. 주식, 코인, 선물

일반 다이버전스와 마찬가지로 상승/하락 다이버전스 두 가지가 존재합니다.

BTC/USDT 1시간 봉

일반 상승 다이버전스는 차트의 가격 저점은 낮아지고, 지표의 저점은 높아지는 게 특징인데

히든 상승 다이버전스는 차트의 가격 저점은 높아지고, 지표의 저점은 낮아지는 게 특징입니다.

히든 다이버전스는 일반 다이버전스와 다르게 포착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포착하기 힘든 만큼 신뢰도 측면에서는 높은 편입니다. 주로 일반 다이버전스가 나타난 후에 포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런 경우는 히든 다이버전스를 우선순위로 매매에 적용하시면 됩니다.

BTC/USDT 1시간 봉

일반 하락 다이버전스는 차 트의 가격 고점은 높아지고, 지표의 고점은 낮아지는데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는 차트의 가격 고점은 낮아지고, 지표의 고점은 높아집니다.

1시간 봉에서 히든 하락, 일반 하락 모두 포착

단기 차트에서 RSI지표 (빗썸에서 스토캐스틱 RSI 사용하는 방법) 일반 다이버전스와 히든 다이버전스를 여러 개 포착할 수도 있는데

이때 우선순위는 일반보다는 히든 다이버전스에, 그리고 기울기 경사가 가파른 것에 초첨을 두시고 매매하시면 됩니다.

또 위 예시 차트처럼 같은 성질의 다이버전스가 포착되었을 때는 조금 더 확신을 갖고 큰 비중을 담아봐도 좋습니다.

일반 상승 다이버전스,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가 동시에 포착되었을때, 매수(롱) 보다 매도(숏) 포지션이 더 유리함

BTC/USDT 1시간 봉

다음은 과장된 상승 다이버전스입니다.

특징은 차트의 가격 저점은 보합인데 지표의 저점은 상승하는 경우입니다.

과장된 다이버전스는 일반, 히든 다이버전스보다 신뢰도가 떨어집니다. 하지만 이런 패턴도 있다는 것을 눈에 익혀두시기만 하면 매매에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BTC/USDT 1시간 봉

마찬가지로 과장된 하락 다이버전스는

차트의 가격 고점은 보합인데 지표의 고점은 낮아지는 경우입니다.

과장된 다이버전스는 가격 지지선과 저항선에 부딪혀 일시적으로 보조지표가 움직이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신뢰도가 낮은 편입니다.

보조지표 RSI 알아보기. feat 다이버전스

오늘도 장이 어지럽습니다. 어찌보면 투자자들로 하여금 가장 싫증나는 패턴을 보여주고 있는것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힘든 장일수록 저희는 열심히 공부해서 향후 추세에 대해 예측/대응 하는것이 최선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모두 힘드시겠지만 오늘하루도 수고하셨고, 남은 행복한 시간을 위해 파이팅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경제적 자유를 위해 열심히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자주보는 보조 지표 이자, 제 멘토님께서 강조하셨던 지표입니다.

거래의 상승폭과 하락폭을 평균을 낸 지표인데요.

과매도권과 과매수권을 표시해주는 지표입니다.

항상 말씀 드리듯 보조지표를 맹신할 순 없지만, 주가에 후행하는 지표라 할 지라도,

활용함에 따라 활용성은 무궁무진 하다고 생각합니다.

단 것은 삼키고, 쓴 것은 뱉어내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RSI 개념과 활용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RSI란 무엇인가?

주식 보조지표 rsi 란 상대 강도지수를 나타내는 보조지표 입니다.

RSI는 일정 기간동안의 주가 상승변화량을 구하여 계산되어지는데, 일정 기간이란 주로 14거래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또는 설정을 달리하여 9일 등 자신만의 rsi지표를 만들어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즉 rsi란 일정 기간동안 주가 상승변화량과 하락변화량의 평균을 구하여 값이 커질수록 과매수로, 값이 작아질수록 과매도로 판단하여 표기되는 보조지표입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