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대 시장 - 2022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6월 18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싱가포르 전경. 사진=알스퀘어 제공.
최근 들어 국내 유통기업들이 동시에 눈 돌리고 있는 해외 시장이 있다. 싱가포르다. 싱가포르 법인을 인수하거나 수출 규모를 늘리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현지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이들은 싱가포르를 해외 진출 초석으로 삼고 동남아시아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시드니와 싱가포르,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장 상위 5위내에

글로벌 부동산 컨설팅사인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10대 데이터 센터 시장 중 시드니와 싱가포르가 1위를 차지했습니다. 시드니는 3위로 올라서며 종합 순위에서 가장 큰 원동력으로 등장했고, 싱가포르는 5위로 한 단계 상승했습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APAC 데이터센터 자문 그룹 리더인 토드 올슨(Todd Olson)은 "아시아 태평양 시장은 전반적인 성장 잠재력과 많은 시장에서 기술 플랫폼과 네트워크의 빠른 발전을 감안할 때 데이터센터 타깃으로서 좋은 성과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가 계속 번창하고 클라우드 연결이 1차 비즈니스 동력이 되는 만큼 이 분야에서 2차 시장이 두각을 나타내고 새로운 시장이 부상하면서 이 지역에서 데이터센터 시장 성장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GLOBAL RANK

CITY

미 북부 버지니사 Northern Virginia

미 실리콘밸리 Silicon Valley

미 뉴욕 / 뉴저지 New York / New Jersey

덴마크 암스테르담 Amsterdam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글로벌 데이터센터 자문 그룹 리더인 데이브 패닝(Dave Fanning) 전무이사는 "2020년 대유행으로 기업들이 클라우드로 빠르게 전환함에 따라 기업 IT 전략의 변화가 가속화 되었습니다. 이 변화의 지속과 최적화는 향후 몇 년 동안 계속될 것이며 플랫폼 간의 클라우드 서비스 6 대 시장 - 2022 가용성과 연결에 더욱 중점을 둘 것입니다. 지난해 연구된 시장 전반의 1.6GW가 올해 판에서 2.9GW로 부풀어 오르는 등 신규 건설량이 급증했습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2차 시장은 계속해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특히 유럽과 아시아의 지역은 일부 workload가 최대로 이동함에 따라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보조 시장들은 데이터센터 운영자에게 더 많은 이윤을 제공하며, 일부는 향후 주요 시장의 지위로 성장할 것입니다. 특히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경우 첸나이와 쿠알라룸푸르 같은 시장이 사업자와 하이퍼스케일러로부터 모두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작년 순위에서 신흥 시장과 대안으로 선정된 시드니는 1년간의 주요 신규 개발 발표와 호주 정부 IT 인프라의 많은 변화를 이끌어내며 전체 순위를 3위로 크게 끌어올렸습니다. 호주는 초기 국가 내 클라우드 구축을 위한 핵심 위치이며 강력한 지역 연결성을 누리고 있습니다.

싱가포르와 암스테르담은 모두 지역 유예를 통해 데이터센터 개발을 강화했지만, 두 곳 모두 여전히 상위 10위에 들며 강력한 기존 시장, 고밀도 섬유 및 사용 가능한 서비스 제공 등을 보여주었습니다. 다른 시장이 계속 성장함에 따라, 두 시장 모두 향후 개발을 위한 솔루션을 찾아야 할 것이며, 잠재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발전이나 제한된 수의 남은 개발 부지에 대한 추가 다층 건설이 필요할 것입니다.

올해 새로 도입된 시장 중 서울이 종합 최고 점수를 받아 오랫동안 간과됐던 데이터센터 시장에 인상적인 데뷔를 기록했습니다. 서울은 325 MW의 용량과 견고한 개발 파이프라인, 그리고 모든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최근 5G산업 및 OTT산업 등 데이터센터 관련 산업의 성장으로 MS 및 AWS등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들의 데이터센터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였으나, 전력 및 토지확보의 어려움으로 서울 내 데이터센터 공급은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시장수요의 경우 최근 OTT산업의 성장 및 5G산업의 성장으로 데이터 관련 수요가 많아졌으며 이에 따른 데이터센터의 수요는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참고-OTT 시장 성장률: 2014년 기준 CAGR: 28.1%(출처: 한국방송통신위원회), 5G트래픽 성장률: 20194 4월 5,938TB에서 152,279TB로 약 6 대 시장 - 2022 1,300% 성장(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력확보 측면에서 볼때 데이터센터 개발에 필수적인 전력을 국가에서 독점하고 있어 사업에 대한 개별적 협의가 불가능하여 전력사업의 특성상 사용자 요청에 의해 전력생산 및 인프라 구축을 할 수 없어 기존 토지에 계획되어 있는 전력만 사용 가능합니다. 또한 전력 공급가능 여부, 공급 가능 전력량 확인 등 정보를 얻는데도 제한적인 상황으로, 전력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토지확보 측면에서 최근 몇 년 동안 서울지역의 주거 수요 및 가격이 가파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서울지역 내 데이터센터 개발이 가능한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선 주택사업자와 매입 경쟁을 벌여야 하는 상황입니다. 만약 주택사업자와 입찰 경쟁에서 데이터센터 개발 부지를 확보했다고 가정하더라도, 주택과 비교시 상대적으로 인허가에 제한적인 상황으로 토지 확보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시장 상황을 이해하고 있는 데이터센터 전문 사업자는 사업전략을 변경하여 1) 전력확보가 가능한 부지를 확보한 후에 2) 데이터센터 사업성 및 인근 데이터센터와의 연계성 등의 물리적 검토를 진행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서울 외곽 지역으로 권역이 확장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글로벌 데이터센터 자문 그룹 소개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데이터센터 자문 그룹은 미션 크리티컬 사용자, 소유자 및 환경을 위한 전문 부동산 솔루션을 제공하는 엘리트 전문가들로 구성된 글로벌 팀입니다. 확장성, 안정성 및 보안을 원동력으로 하는 NAT의 높은 지식과 대응 능력을 갖춘 전문가가 고객에게 효과적인 재무 의사 결정을 안내합니다. NAT의 전문 기술에는 코로케이션 리스, 하이퍼스케일 및 엔터프라이즈 사이트 선택,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IT 전략, 인수 및 자문 서비스 등이 포함됩니다. 당사는 글로벌 역학을 이해하고 그것이 현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함으로써 부가 가치를 부여합니다.

싱가포르 최고의 6 대 시장

싱가포르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오차드로드 (Orchard Road) 쇼핑 벨트와 쇼핑몰이 거의 모든 지하철역에 정박 해있는 쇼핑 천국입니다. 그러나 싱가포르에서 가장 좋은 쇼핑 경험은 겸손한 시장 - 모든 이웃의 숨겨진 보석 -에서 실제로 발견됩니다.

지역 주민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사냥을 하던지 아니면 단순한 상품을 찾아 보든, 아래의 시장은 구매자가 요구할 수있는 가장 확실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부기 스 스트리트 마켓

싱가포르 부기 스 | © Nekotank / Flickr 광택있는 부기 스 정션 (Bugis Junction) 쇼핑몰에서 길 건너편의 부기 스 스트리트 마켓 (Bugis Street Market)은 언제나 광란의 상태에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들의 목소리의 최상위에서 그들의 상품을 선전하는 판매 인, 모든 물건을 싼 것에 쑤셔 넣어지는 폭이 좁은 통로, 그것을 완전히 조종하려고 노력하고있는 땀을 흘리는 여행자. 이것은 당신이 가장 tackiest 기념품 티셔츠, 또는 가족의 아가씨를위한 화려한 액세서리를 얻을 수있는 곳입니다. 관중석을 통과 할 때 사탕 수수 주스를 마셔야합니다. More Info 월 - 일 : 11 : 00 오전 - 10 : 00 오후 4 부기 스 스트리트, 부기 스, 싱가포르, 188867, 싱가포르

차이나 타운 거리 시장

싱가포르의 차이나 타운 거리 시장 활동 하이브 (ko) | © Marco Verch / Flickr 차이나 타운 거리 시장은 종종 관광객으로 생각되지만, 그렇다고해서 제공 할만한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중국 서예에서 실크처럼 부드럽게 Cheongsams포춘 고양이를 수 놓은 손 팬들에게 물결 치고, 밀과 쇠고기를 분리하는 것은 당신에게 달려 있습니다. 또한 음식 거리, 수많은 딤섬 레스토랑 및 디저트 상점이 쇼핑의 긴 하루를 보내는 데 항상 큰 도움이됩니다. 자세한 정보 월 - 일 : 9 : 30 오전 - 8 : 00 오후 파고다 스트리트, Trengganu 스트리트, 사거리, 스미스 스트리트, 차이나 타운, 싱가포르, 50005, 싱가포르

크랜지 지방 농민 시장

시장 위시리스트에 저장 페이스 북 트위터 Pinterest 이메일 링크 복사이 농부 시장은 Syed Alwi Road에있는 Mustafa Center와 같은 24 / 7 쇼핑 천국이 아닐지 모르지만, 매 분기마다 문이 열리면 반드시 가져올 것입니다. 가장 신선한 지역 농산물. 시장은 싱가포르의 마지막 농경지 중 하나에서 자신의 상품을 매 매 매 4 개월마다 모이는 싱가포르 농민 공동체에 의해 조직됩니다. 과일, 생선, 허브, 달걀과 같은 신선한 농산물이든 집에서 만든 잼과 소스와 같은 장인 음식이든 모두 다 가지고 있습니다. 도착하기까지 약간 멀리 떨어져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운전하지 않거나 택시를 이용하지 않으려면 Kranji MRT Berth 3에서 출발하는 셔틀 버스를 찾으십시오. 그러면 MRT Berth 240에서 직접 시장으로 연결됩니다. 추가 정보 718898 Neo Tiew Crescent, Lim Chu Kang, 싱가포르, XNUMX, 싱가포르 웹 사이트 방문 Facebook 페이지 방문 이메일 보내기

Tekka 습식 시장

Tekka 호커 센터는 싸고 좋은 음식에 대한 인기있는 장소입니다 | © Angela Koblitz / Culture Trip Tekka 습식 시장은 Serangoon Road 끝의 Little India 지하철역 바로 옆에 있습니다. 싱가포르의 4 개 공용어 (영어, 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가 혼합되어있는 경우가 많은데, 군중들은 일반적으로 전형적인 싱가포르 복장을 입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이 지역의 시장은 싱가포르의 다문화 유산의 전형입니다. 셔츠, 반바지와 슬리퍼. 거대한 시장은 습한 지역과 건조한 지역으로 구분됩니다. 젖은 지역 (끊임없이 물에 젖어있어 '젖은 시장')은 야채, 생선, 고기와 같은 신선한 농산물을 파는 포장 마차가 있습니다. 건조한 지역은 허브, 향신료, 쌀, 건면, 말린 해산물 및 콩과 같은 건어물을 제공합니다. 위층의 2 층에는 인디언 의류, 놋쇠 제품, 린넨 및 기념품 등이 있습니다. 시장의 일부는 현지 운임을 판매하는 다양한 음식 마차가 가득한 호커 센터에 배정되어 '싱가포르 알기'를 6 대 시장 - 2022 완료합니다. 추가 정보 일요일 - 토요일 : 6 : 30 오전 - 9 : 00 오후 665 버팔로 도로, 리틀 인디아, 싱가포르, 210665, 싱가포르

접근성 및 대상 :

그래서 겔람 시장

아랍 쿼터 싱가포르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적인 쇼핑 지구입니다 | © Tang Yan Song / Shutterstock 그래서 Gelam Market은 적절한시기에 싱가포르에 있다면 팝업 메뉴입니다. 매월 마지막 주말에 열리는 활기찬 시장은 수제 미용 제품, 양초 및 미술품과 같은 장식용 물건을 판매하는 음식 샵과 마구간으로 가득한 전형적인 싱가포르 벼룩 시장입니다. 진정한 싱가포르 캄퐁 정신, 전통을 시험해 보라. 캄퐁 5 개의 돌 및 회전 정상 같이 게임; 또는 맛있는 간식을 사 먹고 피크닉을하기 위해 중앙 잔디밭에있는 매트를 둘러싼 다. 이것은 캄퐁 글람 (Kampong Glam)의 방탕 한 분위기에 자신을 몰입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자세한 정보 Baghdad Street, Kampong Glam, 싱가포르, 싱가포르 Visit Facebook 페이지

카통 스퀘어 (Katong Square) 라이프 스타일 및 빈티지 시장

싱가포르의 Katong 광장에 빨간 집 | © Mark52 / Shutterstock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이 시장은 Katong의 페라 나칸 (Peranakan) 지역에 위치하여 모든 것을 빈티지로 제공합니다. 시계, 빈티지 주얼리, 오뜨 꾸뛰르, 비닐 레코드, 골동품, 미술품 또는 그 밖의 다른 것들을 생각하면 그 향수의 보헤미안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카통 (Katong) 지역은 카통 락사 (Katong Laksa) 또는 오래된 학교와 같은 최고의 지역 음식을 맛볼 수있는 요리 기관입니다. 가야 토스트 - 빈티지 쇼핑의 완벽한 라운드 업. 자세한 정보 86 East Coast Road, # 01-38 / 39, Katong, 싱가포르, 423371, 싱가포르 Visit Facebook 페이지

싱가포르 FSMB(금융서비스시장법)가 가상자산사업자에 미치는 영향

이 글은 스타트업 리서치 플랫폼인 로드스타트 공동 대표 안태현 (Tammy Ahn)님의 기고문 입니다. 스타트업을 위한 양질의 콘텐츠를 기고문 형태로 공유하고자 하는 분이 있다면 벤처스퀘어 에디터 팀 [email protected]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4월 초에 싱가폴에 법인을 설립하여 블록체인 사업을 하고 있는 한국 프로젝트의 이사가 전화를 왔다. 다급한 목소리였다.

“늦은 밤 죄송합니다. 싱가포르 법인 중 싱가포르인을 대상으로 가상자산 관련 사업을 하지 않아도 라이선스가 없으면 당장 사업을 중지해야 한다고 싱가포르 정부에서 발표했다는데 사실인가요? 신속한 상황 파악을 위해 실례지만 연락드렸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4월 5일 소위 옴니버스 법안으로 불리었던 Financial Services and Markets Bill (FSM Bill)이 의회에서 통과되었다. 이 법은 싱가포르 법인이 해외에서만 가상자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더라도, 라이선스를 받아야 한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이 법이 언제부터 효력이 있는지는 아직 발표가 나오지 않았다. 즉, 당장 금지되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참고로 결제서비스법 (PSA 2019)의 경우 1년 후인 2020년 1월 28일부터 시행되었고, 이미 법 시행 전부터 규제 해당 서비스를 하고 있던 가장자산사업자(VASP)들은 6개월의 예외 기간동안 라이선스를 신청하면 라이선스 취득여부가 나오기까지 비지니스를 지속할 수 있게 하였다.

적지 않은 한국인 창업자들이 싱가포르에 법인을 세웠는데, 해외에서 고군분투하는 이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그리고 유사 질문에 대해 무한 반복하여 답변할 일이 줄어들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FSMB의 핵심 사항 (법안은 총 400페이지가 넘는다) 및 가상자산사업자에게 미치는 영향, 그리고 가능한 대안방안들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았다.

FSMB의 배경과 목적

FSMB이 이번에 갑자기 튀어나온 것은 아니다. 법안이 나온 배경에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있다. 2019년 채택된 FATF 기준에 따라 가상자산서비스제공자 (VASPs)는 법인이 존재하는 국가(jurisdiction)에서 라이선스를 받거나 등록을 해야 한다.

대부분의 VASP들은 규제차익(regulatory arbitrage)을 위해, 서비스 대상과는 별도로 규제 면에서 보다 유리한 국가(jurisdiction)에 법인을 두고, 가상자산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다. VASP들이 가장 선호하는 국가가 싱가포르이다 보니 수많은 외국 기업들이 싱가포르에 법인을 세우고, 싱가포르 외의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싱가포르 규제당국인 MAS는 FATF의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 2020년 7월 21일 99페이지의 컨설테이션 페이퍼 (Consultation Paper on the New Omnibus Act for the Financial Sector)를 공표하면서 입법화가 예고되었다.

본 법안의 골자는 (1) MAS 의 금지명령처분의 대상과 권한의 확대를 통해MAS의 규제 권한을 확대하고, (2) 가상자산사업자들의 자금세탁 또는 테러자금조달방지책 강화를 위해 싱가포르가 아닌 해외에서 서비스를 하는 싱가포르 법인에 대한 규제이다.

싱가포르 법인을 둔 VASP 에 미치는 영향

기존의 규제 프레임 하에서는 관리 감독과 규제의 사각 지대였던, 싱가폴 이외 장소에서 서비스하는 싱가포르에 법인을 둔 사업자는 이 법안이 시행될 경우 새로운 금융기관 등급으로 분류되며, 라이선스를 신청하여야 하고, 자금세탁방지 및 테러자금 조달 금지 의무 가 부과되며, MAS의관리 감독을 받게 된다.

입법화 과정과 법적 효력 시기

본 법안은 옴니버스법안이라는 이름으로 2020년 7월 21일 MAS 가 99페이지의 컨설테이션 페이퍼를 발표했고, 2022년 2월 14일 처음 의회에 상정되어 1독 후, 4월 4일 2독이 있은 후 다음 날 의회에서 통과되었다. (의회 사이트에 본 법안이 4월 5일 통과되었다고 나온다.)

법안이 언제부터 법적효력을 갖는지는 정부의 어젠다에 따라 결정이 되며, 주무 부서 (이 경우 MAS)의 장관이 관보(Gazette)에 공표하면서 시행일을 게재하게 된다.

그래서 어찌하오리까

싱가포르에 법인을 두고 해외에서만 서비스를 하던 기업들 중 발빠른 곳들은 차질없이 비지니스를 지속하기 위해 가능한 시나리오들을 검토하고 있다. 추려보면 다음과 같이 네 가지를 대안으로 생각하고 있는 듯 하다.

1. 철새형

싱가포르의 규제가 점점 강해지고 있는데 짐싸서 옮기까? 최근에는 파나마나 건지(Guernsey)가 규제 청정 지역으로 뜨고 있다고들 한다.

싱가포르는 글로벌 크립토 허브를 지향한다고는 하지만 지난 몇 년 동안 규제의 강도를 높이고 있는게 사실이다.

싱가포르통화청 (MAS)은 2017년 < A Guide to Digital Token Offerings >을 발표하면서 디지털 토큰이 금융상품의 성격을 가지면 증권선물법에 따라 규제를 받으며, 유틸리티 토큰은 규제하지 않는다는 입장이었다.

이후 디지털 페이먼트 토큰 (DPT) 서비스 사업자들에 대한 라이선스를 규정하고 있는< Payment Services and Markets Act >가 2020년 1월 28일부터 시행되었다.

올 해 들어서는 1월 17일 대중에 대한 크립토 트레이딩에 대한 광고를 금지하는 등 마케팅을 제한하는 < Guidelines on Provision of Digital Payment Token Services to the Public >을 발표했다.

이어 4월 5일에는 싱가포르 외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싱가포르 법인에 대해 라이선스 및 의무조항을 포함한 < Financial Services and Markets Bill>이 의회에서 통과되면서 규제를 확대하고 있다.

제도권에서 가상자산사업을 영위하려면 그에 따른 의무조항이 있다. 그게 부담스럽다면 규제를 따라 이동하는 철새가 되는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조세회피지역 등에 법인을 설립할 경우 각 국의 세무 당국에서 주시하고 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2. 곰형

어차피 싱가포르 뿐 아니라 많은 나라들이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마당에 보다 명확한 규제 프레임을 가진 싱가포르에서 정면돌파를 해볼까?

VASPs 입장에서 싱가포르는 규제는 있지만, 규제의 불확실성은 없다. 싱가포르의 MAS는 다른 나라들보다 빠르게 규제의 프레임을 만들고, 시장 참여자들과 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으며, 국세청인 IRAS 는 크립토 관련 세제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어느 정도 인지도를 가진 기업의 경우 라이선스를 신청하고 제도권에서 비지니지스를 운영하는 곰같은 우직함이 철새보다는 지속가능한 대안일 수도 있다. 적어도 금융 선진국으로서 위상이 높은 싱가포르에서 가상자산사업을 한다면 평판 리스크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규제 당국의 정책적인 목표는 자금세탁방지 및 자국의 금융 투자자 보호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AML/CTF 에 대한 통제방안만 잘 갖추고 있다면, 싱가포르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하지 않는 사업자들의 경우 싱가포르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VASPs보다는 상대적으로 FSMB 상 라이선스를 받는게 용이하기를 시장 전문가들은 바라고 있다.

곰이나 철새에 비해 보다 유연한 대안을 찾는 경우도 있다. 박쥐와 아기 캥거루 전략이라 칭하겠다.

3) 박쥐형

규제 청정지역인 곳에 자회사나 별도 법인을 만들어 MAS 규제를 받는 서비스들은 이전하고, 규제를 받지 않는 활동들만 싱가포르에 남기도록 리스트럭처링을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는 대안이다.

최근의 많은 프로젝트들을 보면 여러 국가/지역에 조직을 분산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어쩌면 박쥐같은 이런 양다리 전략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규제 환경에서 사업의 효율성 뿐 아니라 규제의 불확실성을 줄이는 방법일 수도 있다.

세금, 은행 계좌 개설, 평판 등의 이유로 2018년 부터 많은 프로젝트들이 토큰 발행사는 역외에 두고, 싱가포르나 평판이 좋은 국가에 재단과 운영법인을 별도로 두는 구조로 Initial Coin Offering (ICO)을 진행하기도 했다.

다만 다양한 법인 간의 법적인 관계에 대해 명확하고 투명한 지배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할 것이며, 여러 법인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비용이나 복잡함이 수반된다.

4) 캥거루형

비즈니스 모델이나 서비스 중 싱가포로의 규제를 받는 부분들에 대해 이미 라이선스를 받은 싱가포르 로칼 사업자들과 전략적 파트너쉽으로 해결이 가능한가?

아기 캥거루는 자생적으로 생활하기 전까지 어미 캥거루의 주머니 속에서 보호를 받는다. 어느 나라에서 라이선스를 받을지, 혹은 라이선스를 신청하고 기다리는 동안 비지니스의 영속성을 위해 규제의 보호막이 되어줄 파트너를 찾는 기업들도 있다.

FSMB에 의하면 이미 PSA 나 다른 금융법의 라이선스를 받은 사업자는 제외된다. 현재 PSA 에서 DPT (Digital Payment Token) 서비스 관련해 4개의 회사가 풀라이선스를 받았고, 4개의 회사가 In-Principle Approval 을 받은 상태이다. 또한 63개의 회사가 DPT 서비스 (digital payment token services) 라이선스에 대해 적용제외(Exemption) 리스트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즉, 이미 PSA 라이선스를 받았거나, 예외 리스트에 있는 기업과의 파트너쉽을 맺고, 규제받는 행위에 대해 그들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고, 비즈니스 의존도가 높아지는 단점도 있다.

참고로 PSA법안이 2020년 1월 28일 시행된 이후 총 300 여개의 회사들이 DPT 라이선스를 신청했고, 지난 2년 동안 단 4개사가 풀라이센스를 받았고, 4개사는 In-Principle Approval 을 받은 만큼 DPT 서비스 라이선스 받기는 녹녹치 않다.

최근 진행 중인 연구과제 때문에 DPT 라이선스를 받은 곳들과 적용제외 리스트의 회사들 중 10개사를 선정해서 포커스 인터뷰를 한 적이 있다.

원체 많은 업체들이 DPT 라이선스를 신청하였기 때문에, 신청서 제출부터 최종 결정까지 평균 2년이 걸렸다고 한다. 그 중 MAS 의 전담 직원을 배정받는 것만도 1년 가까이 걸렸다고 한다.

라이선스를 받을 수 있었던 성공비결을 묻는 질문에 이구동성으로 MAS 는 투명하기 때문에 숨겨진 비법은 없다고 말했다.다만 무엇보다도 AML/CTF 에 대한 통제 프로세스가 MAS 가 가장 중요하게 보는 사항이라고 했다.

다행히 인터뷰한 대부분의 라이선스 사업자들은 글로벌 확장을 위해서 해외 사업자와와 협업을 위한 파트너쉽이나 화이트레이블 등 지원에 대한 가능성을 오픈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라이선스를 받았거나 MAS 규제를 받은 사업자이다 보니 KYC 절차에 따라 선택적일 수 있고,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나 상품에도 제한이 있다보니 모든 크립토 프로젝트에게 가능한 대안은 아닐 수 있다.

비즈니스 결정에는 하나의 정답만 있는 것이 아니다.

위의 언급한 대안들은 각각 장점과 단점이 상존한다. 규제 환경이 변화에 따라 그 영향 및 가능한 대안들을 분석하고, 가장 효율적이고, 적합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은 사업 주체가 풀어야 할 숙제이다.

FSMB법안의 주요 내용

1. 금지명령대상 범위 확대

기존에는 MAS가 증권선물법, 금융자문법, 보험법 등 기존 법령에서 정의된 대상과 행위에 대해 금지 명령처분을 내릴 수 있었는데, 향후 보다 복잡해지는 환경에서 금융적 리스크를 고려하여, 금지명령 처분 대상의 확대, 금지명령을 내릴 수 있는 활동 범주의 확대 및 금지명령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의 합리화를 도입.

MAS에서 규제하는 모든 행위에 대해서 적합하지 않거나 적절하지 않는 사람에 대해 금지명령을 할 수 있도록 권한을 확대하였고, 해당 위법행위의 본질 및 심각성과, 금융 부문에 끼칠 영향에 따라 금지명령이 달라짐

금지명령을 받는 주체는 MAS로부터 사전에 예고를 받을 것이며, MAS가 금지명령을 내리기 전에 변명의 소를 제기할 수 있으며 금지명령을 받은 주체는 장관 (Minister)에게 MAS로부터 내려진 금지명령에 대한 항소할 권리가 있음.

2.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자금세탁 및 테러자금조달 방지책 강화

FATF 는 싱가폴내에서 만들어지고, 서비스화 되는 가상자산에 대해서 ML과 TF에 대한 리스크를 없애기 위해서, 현행국에서의 라이선스 또는 등록을 요구했음

본 법안의 도입으로 싱가폴 이외 장소에서 서비스하는 사업자는 MAS 에서 규제하는 새로운 금융기관 등급으로 분류될 것이며, 라이선스 및 필요 요건들을 충족해야 함

FSM 법안은 강화된 FATF기준에 부합하여 DT 서비스 영역을 규정하였다. 이는 PSA에서 규정하는 DPT 서비스보다 확대된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1)디지털 토큰 거래 (예로 중개, 자금운용, 인수에 부수되는 DT을 사고 파는 행위)

2) 디지털 토큰 교환하게 돕는 행위 (예로 DT를 상장시키는 거래소)

3) 댓가 (현금, 또는 다른종류의 디지털 토큰)를 목적으로 타인에게 DT를 사거나 팔도록 유도하거나 알선하는 행위 (브로커를 알선하는 것도 해당)

4) 디지털 토큰을 한 주소/계좌에서 다른 주소/계좌로 전송(송금)하거나 송금을 주선하는 행위

5) 디지털 토큰 커스터디 서비스 혹은 다중 서명권자나 월렛의 키를 분산저장하는 커스터디 솔루션 제공

6) 디지털 토큰의 투자나 매각에 대한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금융 자문 (전문적인 법률자문 및 회계 자문은 포함되지 않음)

– ­MAS는 DT 서비스와 관련된 거래가 익명성과 파급 속도로 인해서 ML/TF 위험이 높을 수 있으므로, 6 대 시장 - 2022 FSM법안의 역할은 VASP들의 ML/TF행위에 대한 리스크를 규제

– VASP에 대해서 전반적인 규제 권한을 MAS 에 부여.

1) 라이선스에 필요한 요건 설립

2) AML/CFT 검사

3) 싱가포르 정부기관 및 해외 감독기관의 요청 시 AML/CFT 검사에 응하도록 명령할수 있음

싱가포르에 의미있는 실재 (meaningful presence)를 확인하고, MAS 에 적합한 감독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다음의 요건이 부여될 수 있음

1) 싱가포르에 항구적 사업장을 가질 것

2) MAS 에서 서면으로 요청한 날/시각에 AML/CFT 관한 질문에 답변하거나 고객이나 사용자의 불만을 처리하기 위해 적어도 한 명 이상 직원이 존재할 것

3) DT 서비스 관련한 거래원장을 보관하며, MAS 요청 시 적시에 제출

4) 서면으로 사전에 제출된 혹은 MAS 에서 특정하는 재무적인 요건을 만족할 것

MAS는 기술리스크 관리에 필요한 요건들을 금융기관에 요청하고, 이를 중앙 집중적으로 단속 관리할 권한을 갖음
기술 리스크 관리 요건을 어길 경우, 최대 S$1mn 벌금이 부여될 수 있음

  • 승인된 분쟁해결센터 법적 보호
    – 금융분쟁해결센터 (FIDReC)의 중재인, 임원, 대표 등은 금융기관으로부터의 클레임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면책권한부여

– FSM법안은 승인된 분쟁해결센터의 중재인, 직원, 운영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책무에 대한 법적 보호 마련
법적보호의 수준은 싱가폴 내 타 공적기관내의 분쟁해소기관 또는 다른나라 유사기관의 보호수준에 상응

韓 유통기업들은 왜 싱가포르로 눈 돌릴까

싱가포르 전경. 사진=알스퀘어 제공.
최근 들어 국내 유통기업들이 동시에 눈 돌리고 있는 해외 시장이 있다. 싱가포르다. 싱가포르 법인을 인수하거나 수출 규모를 늘리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현지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이들은 싱가포르를 해외 진출 초석으로 삼고 동남아시아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국내 유통기업들의 싱가포르 진출이 이어지고 있다.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오늘의집’의 운영사 ‘㈜버킷플레이스’(버킷플레이스)는 싱가포르 가구 시장 진출을 위해 현지 온라인 가구 플랫폼 ‘힙밴’(Hipvan)을 인수했다고 지난 23일 밝혔다.

힙밴은 2013년에 등장한 싱가포르 온라인 가구 커머스 플랫폼이다. 합리적인 가격에 고품질의 가구를 온라인으로 판매하며 싱가포르 가구 업계의 온라인화를 선도화하는 대표 가구 플랫폼으로 꼽힌다고 버킷플레이스는 설명했다.

이승재 버킷플레이스 대표는 “힙밴이 지난 몇 년간 쌓아온 동남아 시장에서의 경험은 오늘의집이 공간을 통해 세상 모든 사람들의 삶을 바꾸는 혁신을 하고자 하는 방향과 유사했다”며 “이번 인수를 시작으로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시장에서 혁신 기반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나갈 오늘의집의 무한한 가능성을 지켜봐 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패션업계도 싱가포르 시장에 눈독 들이고 있다. 젝시믹스(XEXYMIX), 안다르(andar)와 국내 레깅스 시장 3대장으로 불리는 뮬라웨어(mulawear)는 싱가포르에 50평 규모 오프라인 매장을 열고 싱가포르 Z세대와 소통에 나선다. 뮬라웨어 매장이 둥지를 튼 만다린 갤러리는 대표 쇼핑몰로 유명하다. 공간을 체험 공간으로 활용해 다양한 방식으로 매장 방문을 유도할 계획이고 당사는 설명했다.

SPC그룹도 싱가포르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상황. SPC그룹이 '쉐이크쉑' 싱가포르 8호점 '6 대 시장 - 2022 웨스트게이트점'을 오픈했다고 이달 1일 밝혔다. 쉐이크쉑 웨스트게이트점은 싱가포르를 대표하는 스마트 산업단지인 주롱혁신지구에 위치한 웨스트게이트 쇼핑몰 1층에 362㎡, 129석 규모로 자리잡았다.

다수의 유통업계 관계자들은 싱가포르 시장 매력 포인트로 ‘용이한 동남아시아 진출’을 꼽는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와 동남아시아 국가들 사이에는 싱가포르가 위치해 있다”며 “한국 기업이 한류에 열광하는 동남아시아로 진출하는 경우 싱가포르는 중간 허브 역할에 적합한 곳”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싱가포르의 선진적인 쇼핑 문화도 큰 장점”이라고 부연했다.

싱가포르 법인을 세우기 위한 부동산 문의도 쇄도하고 있다. 상업용 부동산 플랫폼 ‘알스퀘어’ 관계자는 “우리나라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의 아시아 지역 오피스가 대부분 싱가포르에 자리 잡고 있다”며 “싱가포르는 동남아 사업 확장에 있어 심장부 같은 존재”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포스트 차이나 대안으로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가 대두되고 있다”며 “국내 기업들의 베트남 공장 부지나 사무 공간 문의가 이어지기도 했다. 동남아시아 인기로 허브 역할을 할 싱가포르 인기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점쳤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