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분석 도구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1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기술적 분석의 종류와 방법

기술적 분석이란 무엇인가요?

기술적 분석은 흔히 차팅(charting)이라고도 하며, 이전의 가격 변동과 거래량을 바탕으로 미래의 시장 추세를 예측하는 분석의 한 유형입니다. 기술적 분석 접근은 전통적인 금융 시장의 주식과 다른 자산에도 적용되지만, 암호 화폐 시장에서 디지털 통화 거래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기도 합니다.

자산 가격과 관련된 복합적인 요소를 고려하는 기초적 분석과는 달리, 기술적 분석은 가격 변동 기록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산의 가격 변동과 거래량 데이터를 분석하는 도구로 활용되며, 많은 트레이더들이 추세와 더불어 좋은 거래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 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원초적인 형태의 기술적 분석은 17세기 암스테르담과 18세기 일본에서 시작되었지만, 현대의 기술적 분석은 찰스 다우(Charles Dow)의 연구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금융권 저널리스트이자 월스트리트 저널의 설립자인 다우는 개별 자산과 시장이 추세를 따라 움직이며, 이는 세분화되어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한 초기 인물 중 하나였습니다. 그의 연구는 훗날 기술적 분석의 추가적인 발전을 고무시킨 다우 이론을 낳았습니다.

초기의 초보적 수준의 기술적 분석은 수작업으로 만든 시트와 수동 계산에 기반했지만, 기술과 현대 컴퓨터가 발달하며 널리 보급되었고 많은 투자자와 트레이더들에게 중요한 도구가 되었습니다.

기술적 분석은 어떻게 이뤄지나요?

앞서 이야기 한 것처럼, 기술적 분석은 기본적으로 자산의 현재 가격과 이전 가격을 분석합니다. 기술적 분석의 주된 기초가 되는 가정은 자산의 가격 변동이 임의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별할 수 있는 추세로 이어진다는 것입니다.

그 핵심인 기술적 분석은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를 대변하는 수요와 공급의 시장 지배력을 분석합니다. 다른 말로 하자면, 자산의 가격은 매도세와 반대되는 매수세의 반영이며, 이는 트레이더와 투자자의 감정(본질적인 두려움과 탐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기술적 분석은 높은 거래량과 유동성을 갖춘 일반적인 조건에서 운영되는 시장에서 더욱 신뢰할 수 있으며 효과적이라는 점입니다. 거래량이 많은 시장은 가격 조작과 잘못된 신호를 만들어 기술적 지표를 무용하게 만들 수 있는 비정상적인 외부의 영향을 덜 받습니다.

가격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좋은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 트레이더들은 지표로 알려진 다양한 차트 작성 도구를 활용합니다. 기술적 분석 지표를 통해 트레이더는 기존의 추세를 파악하고 향후 진행될 수 있는 추세에 대한 통찰력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지표가 틀릴 수도 있기 때문에, 일부 트레이더들은 위험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지표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인 기술적 분석 지표

기술적 지표를 사용하는 트레이더들은 보통 차트와 가격 변동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지표와 측정법을 사용해 시장 추세를 파악하려고 합니다. 수많은 기술 분석 지표 중에서 단순 이동 평균(Simple Moving Averages)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단순 이동 평균은 정해진 기간 동안 자산의 종가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지수 이동 평균(EMA)은 이전 종가보다 최근 종가에 가중치를 두는 수정된 버전의 단순 이동 평균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또 다른 지표는 상대 강도 지수(RSI)로, 이는 오실레이터라고 알려진 지표 클래스의 일부입니다. 시간 경과에 따른 가격 변동을 단순히 추적하는 단순 이동 평균과 달리, 오실레이터는 수학적 공식을 가격 데이터에 적용한 다음 사전에 정의된 범위에 해당하는 값을 생성합니다. RSI의 범위는 0부터 100 사이입니다.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 지표는 또 다른 오실레이터 유형에 해당하며 트레이더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높습니다. 볼린저 밴드 지표는 이동 평균선을 따라 흐르는 두 개의 가로 방향 줄로 구성됩니다. 이는 시장 변동성을 측정할 뿐만 아니라, 시장의 잠재적인 과매수와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본적이고 단순한 기술적 분석 도구들 외에도,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다른 지표에 의존하는 몇 가지 지표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Stochastic RSI는 표준 RSI에 수학 공식을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또 다른 대표적 경우는 이동 평균 수렴 확산(MACD) 지표입니다. 이동 평균 수렴 확산은 두 개의 지수 이동 평균을 도출해 메인 라인(MACD 라인)을 생성합니다. 첫 번째 라인은 또 다른 지수 이동 평균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 두 번째 라인(시그널 라인이라고 함)으로 이어집니다. 또한 이동 평균 수렴 확산 히스토그램이 있는데, 이는 두 라인 간의 차이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트레이딩 시그널

지표는 일반적인 추세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지만, 잠재적 진입 시점과 탈출 시점(구매 및 판매 시그널)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데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그널은 특정 상황이 지표의 차트에 발생할 때 생성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SI가 70 이상의 값을 보여준다면, 시장이 과매수 상태 속에서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이는 RSI가 30 이하로 하락할 때도 동일한 논리로 적용되며, 일반적으로 과매도 상태의 시장 상황에 대한 시그널로 간주됩니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기술적 분석에 의해 제공되는 트레이딩 시그널이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니며, 기술적 지표를 통해 상당한 양의 노이즈(가짜 시그널)가 발생합니다. 이는 특히, 전통적인 시장보다 훨씬 규모가 작고, 따라서 보다 유동적인 암호 화폐 시장에서 특히 문제가 됩니다.

기술적 분석은 모든 종류의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논쟁의 여지가 있는 신뢰할 수 없는 방법으로 간주하며, 종종 "자기 만족적 예언"으로 일컬어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용어는 많은 사람들이 발생할 것으로 가정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사건을 이야기하는 데 사용됩니다.

비평가들은 금융 시장 속에서 많은 트레이더와 투자자들이 지지선이나 저항선과 같은 동일한 유형의 지표에 의존한다면, 이러한 지표들이 작동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주장합니다.

한편, 다수의 기술적 분석 옹호자들은 각 차트 분석가들이 차트를 분석하고 여러 지표를 사용하는 저마다의 방법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대다수의 트레이더들이 동일한 특정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초적 분석 vs. 기술적 분석

기술적 분석의 핵심 전제는 시장 가격은 특정 자산과 관련된 모든 근본적인 요소들을 선반영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주로 과거 가격 데이터와 거래량(시장 차트)에 초점을 맞춘 기술적 분석과는 달리, 기초적 분석은 질적 요인을 보다 강조하는 보다 넓은 조사 전략을 활용합니다.

기초적 분석은 자산의 향후 성과가 단순한 과거 데이터보다 더 많은 것들에 달려 있다고 간주합니다. 본질적으로 기초적 분석은 기업 경영과 평판, 시장 경쟁력, 성장률, 산업 건전성과 같은 광범위한 미시, 거시 경제적 상황을 바탕으로, 기업과 비즈니스, 자산의 내재적 가치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주로 가격 변동과 시장 변화 예측 도구로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과 달리, 기초적 분석은 자산의 시장적 위치와 잠재력에 따라, 자산이 과대 평가되지는 않았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은 주로 단기 트레이더들이 사용하지만, 기초 분석은 펀드 매니저와 장기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 가지 주목할 만한 기술적 분석의 장점은 정량적 데이터에 의존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과거의 가격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위한 체계를 제공하며, 기초적 분석의 질적인 접근법과 함께 발생하는 추측성 결과를 지양합니다.

그러나 기술적 분석이 경험적 데이터를 다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개인의 편견과 주관성의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자산에 대한 특정 결론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한 트레이더의 경우, 자신의 편견을 강화하고 선입견을 반영하기 위해 자신의 기술적 분석 도구를 조작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진행됩니다. 또한 시장이 명확한 패턴이나 추세를 나타내지 않는 기간 동안 기술적 분석은 실패할 수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어떤 방법이 더 나은가에 대한 비판과 오랜 논쟁이 있지만, 많은 이들은 기술적 분석과 기초적 분석 접근법을 조합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초적 분석은 보통 장기적 투자 전략과 관계가 있지만, 기술적 분석은 단기 시장 상황에 대한 통찰력 있는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트레이더와 투자자 모두에게 유용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유리한 진입 시점과 탈출 시점을 결정할 때).

(주식) 기술적 분석이란 무엇인가?

기술적 분석

기술적 분석 (Technical Analysis)는 금융 시장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회사의 내부가치를 전혀 무시하고 가격의 움직임만을 차트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회사의 값어치와 주가를 판단하는 기본적 분석은 무시하고 기술적 분석가들은 주식의 중요한 기본적 요인들은 이미 현재 가격에 포함이 되어 있기 때문에 주식의 예전 가격과 가격흐름의 패턴을 분석하면 미래의 가격 예측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기술적 분석은 주식 시장외에도 환율, 곡식, 크립토 등 많은 트리이딩 분석에 이용되고 있다.

컴퓨터의 발달로 기계적 매수와 매도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 거래를 하는것도 기술적 분석을 뒷바침 해주고 있는 중요한 요소라 하겠다. 주식의 가격 패턴을 보면 저항점 (Resistance)와 지지점 (Support)의 가격이 형성되고 투자자들의 심리적인 요인이 작용되어 기술적 분석을 이용해 마켓 타이밍을 찾으면 큰 도움을 준다.

시장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고 일정 패턴이 반복해 일어난다고 한다. 예를 들어, 주식시장이 현재 상승세 (Bullish) 라고 가정 했을때 기술적 분석가들은 마켓 트랜드가 하락세로 변화하기 전에 특별한 차트 패턴이 일어나 변환점을 예고한다는 것이다. 기술적 분석은 과거의 가격흐름을 통해 앞으로 일어날 가격 변동을 예측하는데 차트만한 도구가 없다고 본다.

기술적 분석을 뒷바침 하기 위해서는 다음 3가지 전제 조건이 있다.

  • 먼저, 현재 주가의 가격은 시장에 영향을 주는 모든 요소들이 반영되어 있다. 기술적 분석에서 회사의 내부가치와 재무제표를 무시하는 이유가 모든 요인이 이미 가격에 반영 되었다고 가정하기 때문이다.
  • 둘째, 가격은 지장의 상승세나 하락세 트랜드를 따라 움직인다. 가격의 흐름세가 전환되기 전까지는 주식의 가격은 트랜드와 함께 움직인다.
  • 셋째, 주식 시장의 가격 움직임은 반복된다. 기술적 분석을 통한 차트를 보면 비슷한 패턴의 유형이 계속해서 반복된다고 한다. 따라서, 주식의 가격은 투자자들의 심리가 잘 반영되어 있고 이를 차트 패턴이 보여준다.

기술적 분석의 단점이라면 이론적 뒷바침이 거의 없고 가격이 움직이는 이유에 대해서도 관심이 없으며 단지 위에서 가정한 3가지 전제 존건에 따라 반복되는 가격 움직임을 예측 한다는 것이다. 투자자들은 같은 차트를 보면서도 각자 자신이 유리한 쪽으로 심리적인 분석을 하기 때문에 객관성이 부족하고 주관적인 분석이라 한다. 따라서, 기관 투자자들은 기본적 분석을 기본으로하고 기술적 분석은 참고 자료로 이용하는 반면 개인 투자자 (개미들은) 기술적 분석을 많이 이용한다. 하지만, 많은 투자자들이 기술적 분석을 이용해 성공한 사례도 많이 있을 뿐더러 이들이 기술적 분석을 유용한 도구라고 주장하고 있어 기술적 분석을 이용한 거래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캔들 스틱 차트 분석

캔들 스틱 차트 (Candlestick Chart)는 18세기에 일본에서 개발 되었고 요즘엔 금융 시장의 기술적 분석에 바차트 (Bar Chart)와 함께 많이 사용된다. 차트를 이용해 (1) 마켓 트랜드 (추세)를 분석하고 (2) 지지점과 저항점을 찾고 (3) 가격 패턴을 이용해 전환하는 추세나 지속적인 추세를 예측할수 있다.

캔들 스틱


캔들 스틱

1. 마켓 트랜드

마켓 트랜드는 한번 추세를 나타내면 상당기간 지속된다. 상승세 (불 마켓)는 평균 2.7년 지속되고 하락세 (베어 마켓)은 한번 시작되면 평균 289일 동안 지속된다고 한다. 대부분의 종목이 마켓 트랜드를 따라 가격이 움직이기 때문에 트랜드를 분석하는게 중요하다. 하락세에는 투자를 중지하는것도 좋은 투자 방법이다.

2. 지지점과 저항점

주가가 내려가다 주춤하여 반등하는 지점을 지지점 (Support)라고 하고 오르다가 주춤하여 하락하는 지점을 저항점 (Resistance)라고 한다. 지지점이나 저항점을 무너 뜨리려면 그만한 거래량이 뒷바침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기술적 분석가들이 지지점과 저항점을 매수와 매도 가격으로 이용한다. 또한, 저항선이 무너져 가격이 더 올라가면 예전 저항점이 지지점이 되기도 한다.

가격 움직임이 차트에서 특별한 패턴을 뛸때 그 형태에 따라 추세가 바뀌거나 지지점과 저항점이 붕괴 된다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패턴을 발견하고 앞으로의 가격 움직임을 예측해 거래를 할수 있다. 패턴은 캔들 스틱 패턴과 차트 패턴이 있으며 종류만 해도 수십가지 이다. 이중에, 많이 이용되는 차트 패턴은 다음과 같다.

  1. 머리 어깨형 (Head and Shoulder) - 상승세에서 하락세로 전환하는 패턴이다
  2. 이중 천정형 (Double Top) - 상승 추세의 주가가 더 높은 고점을 만들지 못하고 하락세로 바뀌는 패턴이다.
  3. 이중 바닥형 (Double Bottom) - 하락 추세였던 종목이 상승세로 바뀔때 일어나는 패턴이다.
  4. 라운팅 바텀 (Rounding Bottom) 하락세에서 상승 추세로 전환을 신호하는 패턴이다.
  5. 컵과 핸들 (Cup and Handle) - 컵과 핸들은 상승세가 잠시 주춤했다가 다시 상승세를 타는 패턴이다.
  6. 쐐기 (Wedges) - 쐐기는 대칭 삼각형괴 비슷한 현재 추세가 지속되는 패턴이다.
  7. 삼각기나 깃발 (Pennants or Flags) - 현재의 추세가 지속되는 패턴이다.
  8. 삼각형 (Triangle) - 삼각형 패턴에는 대칭형, 상승형과 하강형이 있다. 대칭형은 가격이 통합되는 기간이고 트랜드는 삼각형의 방향에 따라 상승세나 하락세를 탄다. 상승형 삼각형은 추세가 계속 이어지는 형태를 나타내고 하강형 삼각형은 하락세를 지속하는 패턴이다.기술적 분석 도구

기술적 지표

기술적 분석은 주식의 가격를 기본으로 이용하고 거래량과 다양한 지표들 (이동 평균선, 불린저 밴드, 모맨텀, ADX, ATR, MACD, RSI 등등)을 캔들 스틱차트와 함께 이용해 분석한다. 지표 (Indicator)만을 이용해 거래 결정을 하는것은 위험한 일이고 특정한 패턴을 찾았을때 지표를 이용해 이를 재 확인 하는 차원에 사용하면 좋다.

  1. 이동 평균선 (Moving Average) - 주로 20일, 50일 또는 200일 평균 가격을 그래프로 나타낸 선이고 추세를 표한한다.
  2. 변동성 지표 (volatility) - 변동성 지표는 시장의 가격변동을 값으로 나타내 투자자의 공포지수와 위험도를 보여준다. 가장 잘 이용하는 변동성 지표로는 볼린저 밴드가 있고 그뒤로 ATR, 캘트너 채널과 VIX 가 있다. 볼린저 채널은 이평선을 기준으로 2개의 밴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폭이 넗을경우 변동성이 높으며 폭이 좁을때는 박스권이라 한다. 박스권에서는 하단 근처에서 매수하여 상단 (이나 이평선) 근처에서 매도하는 것이 일반적인 행위이고 상단선을 이탈하면 하락세로 이루어 지기 쉬운 패턴이다. ATR 는 마켓의 휘발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14일 이동 평군선을 이용해 만들어 진다.
  3. 오실레이터 (Oscillator) - 기준선을 중심으로 가격이 위 아래로 움직이는 지표이고 대표적으로 상대강도지수 (RSI), 스토캐서틱과 이동평균수렴 확산지수 (기술적 분석 도구 MSCD)라는 지표가 있다. 이는 추세 변화를 감지하고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를 찾아내어 매매 타이밍을 정하는데 유용하다.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RSI 는 사는힘과 파는힘이 비교해서 어느쪽이 더 쎈지를 알려주는 지표이다. RSI 지수는 0 ~ 100 까지 나타내고 30보다 낮으면 파는힘이 (Over Sold)강하고 70보다 높으면 (Over Bought) 사는힘이 강한 지표이다.

기술적 분석에 대한 생각

기술적 분석은 주로 추세를 이해하고 이미 알려진 패턴을 찾아 앞으로 움직일 가격을 예상하는 도구이다. 하지만, 기술적 분석이 매번 맞는것이 아니고 패턴의 모양도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투자자의 주관적인 분석으로 틀릴경우 손해를 보는 경우가 간혹있다. 따라서, 기술적 분석에 올인 하여 매수와 매도 결정을 하지 않고 기본적인 분석을 병행해서 종목 선택은 기본적 분석 마켓 타이밍은 기술적 분석을 이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보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마켓 추세는 특별한 반전이 일어나지 않으면 지속된다. 기술적인 분석이던 기본적 분석을 하던 상승세 (Bull Market)에 투자를 한다면 손해를 보는일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하락세에 마켓과 싸우며 수익을 보려는 것은 큰 무리가 따르므로 기술적인 분석을 통해 마켓 트랜드와 특정 종목 트랜드를 비교하고 상승세에 투자하면 보다 성공적이 투자자가 될수 있다.

월스트리트의 저명한 투자자 하워드 막스 (Howard Marks)는 기술적 분석을 믿지 않는다고 했다. 왜냐하면 랜덤 워크가설 "과거의 주가는 미리의 주가를 예측하는데 아무런 도움도 주지 않는다"는 믿기 때문이다.

금융시장은 다양한 거래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승세, 하락세와 횡보추세 어느때도 수익을 낼수 있다. 공매도와 풋 옵션을 이용하면 하락장에서도 수익을 낼수 있다. 따라서, 시장의 추세를 이해하고 이에 맞은 투자를 한다면 보다 많은 수익을 낼수 있으리라 본다.

증권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움직이고 이는 가격 차트에 반영된다. 기술적 분석은 가격의 움직임과 거래량을 보고 앞으로의 추세를 예측하는 도구이지만 패턴이 매번 맞는것이 아니고 해석도 주관적이기 때문에 100%신뢰 할수 없다. 성공적인 투자자로 발전하려면 기본적인 분석과 기술적인 분석을 병행해 기본적인 분석을 통해 종목을 선정하고 기술적인 분석을 통해 매수와 매도 타이밍을 잡은다면 보다 성공적인 투자자가 되리라 본다.

Share this post

Author

순대

Sundae has made every attempt to 기술적 분석 도구 ensur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provided on this website. However, the information is provided "as is" without warranty of any kind. Sundae does not accept any responsibility or liability for the accuracy, content, completeness, legality, or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on this website.

기술적 분석 도구

이동평균선, 볼린저밴드, MACD 등 주식 투자를 한다면 누구나 한 번씩은 들어봤을 지표들입니다.

위 지표들을 ‘기술적지표’라고 합니다.

기술적지표는 기술적분석을 위한 도구 입니다.

그렇다면 기술적 분석은 무엇일까요?

기술적분석 은 과거의 주가와 거래량의 움직임을 차트로 나타내고,

그 움직임을 분석하여 앞날을 예측하는 방법론 입니다.

주식하면 떠오르는 캔들차트, 지지선, 저항선, 이평선 등 모두 다 기술적분석의 일종입니다.

일부 시장 참여자들은 효율적 시장 가설을 바탕으로

기술적분석의 무용론을 주장 하지만

아직까지 기술적분석이 생명력을 가지고 살아남았다는 것은 나름대로 가치가 있기 때문 입니다.

그러기에 각 증권사에서도 투자자들을 위하여

앞다투어 기술적분석을 위한 도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HTS를 얼핏 보더라도 200개 이상의 온갖 기술적지표들이 들어가 있습니다.

복잡한 지표 설정을 마친 HTS 화면입니다.

이처럼 다양한 지표들이 존재하고 있지만

실제로 이들을 매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HTS 설정과 조건식,

설정값 세팅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알파스퀘어 에서는 ‘매매시점’ 기능과 지표 성능 검증을 위한 ‘ 지표발굴’ 기능이 있습니다.

알파스퀘어(AlphaSquare) - 스마트한 당신의 주식투자

주식정보 | 종목발굴 기술적 분석 도구 | 전략공유 등 알파스퀘어만의 ‘All In One’ 스마트 주식투자 플랫폼

차트 툴을 다루는 방법과 기술적 지표를 추가/제거하는 방법 은 아래 링크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알파스퀘어가 처음이신 분들은 참고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알파스퀘어에서 어떻게 주가차트를 확대, 축소 그리고 차트의 기간을 이동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차트에 기술적 지표 추가/제거하기

알파스퀘어 주가차트에 기술적지표를 추가, 제거, 그리고 지표의 설정 값을 변경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정작 이 지표를 사용하는 것이 진짜 수익률에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매매시점’ 기능은 각 기술적지표에 대한 매매시점을 차트에 표시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보다 객관적으로 기술적지표를 활용 할 수 있으며

지표 설정값을 변경해 가며 나에게 맞게 튜닝 이 가능합니다.

기술적 지표 매매시점 한눈에 확인하기

많은 기술적 지표들이 있지만, 정작 이 지표를 사용하는 것이 진짜 수익률에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알파스퀘어에서는 각 기술적 지표에 대한 매매시점을 차트에 표시해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보다 객관적이고 통계적으로 기술적 지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기술적지표 중 내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에는 어떤 기술적지표가 잘 맞을지 알고 싶다면

‘지표발굴’ 기능을 활용하면 됩니다.

'지표 발굴'기능을 활용하여

해당 종목에 가장 효과적인 기술적지표를 과거 시뮬레이션을 통해 찾을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은 지표가 만들어내는 매수/매도 시그널에 따라 진행되며

결과 보기에서 상세 거래내역 확인이 가능합니다.

지표발굴을 통해 가장 효과적인 기술적 지표 발굴하기

알파스퀘어는 매매시점과 더불어 해당 종목에 가장 효과적인 기술적 지표를 과거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굴 할 수 있는 지표발굴 기능을 제공합니다.

주식 분석 방법 4가지 (추세/패턴/장세/목표치)

주식-분석-방법

기술적 분석의 종류와 방법

기술적 분석의 종류

- 분석방법에 따라 추세 분석, 패턴 분석, 장세 분석, 목표치 계산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추세 분석 (Trend Analysis)

- 주가의 움직임 속에서, 추세선이나 추세대를 찾아보고 또 추세선이 언제 무너지는지를 관찰함으로써, 주식의 매매시점을 포착하는 기법이다. 지지선과 저항선의 설정, 추세선의 신뢰도, 추세선의 수정, 추세선의 전환 등을 관찰해서 투자판단에 이용한다.

2. 패턴 분석 (Pattern Analysis)

- 추세선이 변할 때, 나타나는 여러 가지 주가 변동 패턴을 정형화해 놓고, 이를 분석해 향후 주가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과거 주가 흐름을 통해 검증된 패턴을 현재의 주가 흐름에 대입해 주가의 등락을 예측한다.

3. 장세 분석 (Market Analysis)

- 주식시장에 나타나는 각종 신호들을 파악하고, 그것을 시장 언어(Language of the Market)로 해석해서 장세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증권 시장의 흐름을 강세시장(Bullish Market)과 약세시장(Bear Market)으로 나누고, 이들 시장의 사이클을 알아내는 것이 그 목적이다.

4. 목표치 계산 (Counting)

- 여러 가지 차트 분석기법을 이용해서 주가가 어느 선까지 상승하거나 하락할 것인가를 예측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측기법에 따라 달라지는 분석 도구들

1. 가격

- 이동평균선, 이격도, 삼선전환도, P&F, Coppock, TI (Timing Indicator)

2. 거래량

- 거래량 이동평균선, 거래량 회전율, 거래대금 회전율, VR (Volume Ratio)

3. 가격과 거래량을 동시에

- 역시계곡선(주가- 거래량 상관 곡선), OBV (On Balance Volume)

4. 가격이나 거래량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시장 분위기 예상할 때

- 투자심리선, 거래성립률, 등락 주선(ADL), 등락비율(ADR), 신고가 신저가선, 고객 예탁금 추이, 신용잔고 추이, 미수금 잔고 추이, 주식형 수익증권 잔고 추이

5. 모멘텀 지표(주가의 운동에너지 또는 가속도)를 이용

- MACD, 스토캐스틱, 볼린저밴드, 일목균형표, TRIX, DMI, 상대 강도지수(RSI, Relative Strength Index), SONAR 차트, CO (Chaikin Oscillator) 등

기술적 분석의 지표 유형

1. 추세지표

○ 주가 추세 3가지 유형

- 상승추세: 주가의 고점과 저점을 높이며, 상승을 이어가는 형태

- 하락추세: 주가의 고점과 저점을 낮추면서, 하락을 이어가는 형태

- 횡보추세 또는 비추세: 주가가 일정한 추세를 갖지 못하고, 등락하거나 횡보하며 진행하는 형태

○ 추세 지표

3)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4) ROC (Rate of Change)와 모멘텀 지표

5) DMI (Directional Movement Index)와 ADX(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

2. 모멘텀 지표

- 투자심리나 운동에너지를 이용해서, 주가 추세의 변곡점을 찾아보는 지표를 의미한다. 모멘텀 지표는 추세 진행을 확인시켜 주거나, 추세의 변곡점을 알아보는데 이용한다.

○ 모멘텀 지표

1) 모멘텀(Momentum) 2) 스토캐스틱(Stochastic)

3) CCI (Commodity Channel Index)

6) MACD Oscillator 7) SONAR

8) TRIX (Triple Exponentially Smoothed Moving Average)

9) Williams % R

3. 변동성 지표

- 주가의 변동성 또는 탄력성이란, 주가가 추세를 따라 움직일 때 그 각도가 가파르고(상승할 때는 상승 각도가 가파르고, 하락할 때는 하락 각도가 가파른 것을 말함), 변동폭이 큰 것을 말한다. 한마디로 짧은 기간에 주가의 등락폭이 큰 것을 의미 한다.

- 테마 관련 주나 저가 종목을 일반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이유는, 이 변동성과 탄력성 때문이다. 변동성 지표는 매매타이밍을 잡는데 유용하고, 단기매매에도 활용 된다.

○ 이용되는 지표

3) Parablic Sar (Stop & Reversal) 4) ATR

5) Keltner Channels 6) Pivot Line

4. 주가에 시간 개념을 포함시켜 만든 분석 지표

- 일정한 시간 단위로 주가 변동을 예측하게 하는 지표로, 추세 확인과 변곡점 확인에 이용한다. (ex. 일목균형표)

5. 시장 강도 지표

- 주가의 추세나 기술적 분석 도구 변동성이 얼마나 강한가를 나타내는 지표다. 주로 거래량을 포함시켜 주가 분석을 하는 것이 특징.

○ 참고 지표 종류

1) 거래량 (또는 거래대금) 이동평균 2) OBV (On Ballance Volume)

3) RSI (Relative Strength Index) 기술적 분석 도구 4) CO (Chaikin Oscillator)

5) Volume Oscillator 6) Volume Ratio

7) NVI (Negative Volume Index) 8) PVI (Positive Volume Index)

9) MFI (Money Flow Index)

6. 시장 동향 지표

- 증시에 자금이 들어오는지, 나가는지를 파악하거나 투자 주체별 동향을 분석해서 시장의 강약을 알아보는 지표다.

○ 참고 지표

1) 고객예탁금 추이 2) 주식형 펀드 잔고 추이

3) 외국인 매매동향 4) 기관 매매동향

차트 분석의 5가지 원리

1. 차트는 수급의 결과를 반영한다

- 주가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만 움직인다. 공급에 비해 수요가 많으면, 주가는 올라가고, 수요보다 공급이 많으면 주가가 하락한다. 그리고 수급의 결과는 모두 그래프로 나타난다.

2. 주가는 관성의 원리에 따라 추세를 지속하려는 속성이 있다

- 주가는 추세를 형성하면서 움직이고, 추세는 수급의 변화가 있을 때까지 관성의 법칙에 따라 지속하려는 속성이 있다.

3. 주가는 파동과 사이클을 반복하려는 속성이 있다

- 주가 나름의 파동과 사이클을 그리며 진행한다. 또 차트에 나타나는 기술적 분석 도구 주가 모형은 반복하려는 속성이 있다.

4. 주가에도 어느 정도 구심력이 있다

- 주가는 이동평균선으로, 단기 이동평균선은 장기 이동평균선으로 회귀하려는 속성이 있다.

5. 주가는 선행하는 경향이 있다

-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재료는, 일반투자자들이 알기 전에 차트에 먼저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종합주가지수는 경기보다 약 3~6개월 선반영 되는 경향 이 있고, 개별기업 주가의 경우, 기대수익이 주가에 선반영 되거나, 대주주나 임직원 등에 의해 정보가 사전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