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낸스 펀딩피(funding fee)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무기한 선물 거래를 하다보면 일정시간 마다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요. 그것이 오늘 알아볼 펀딩피(funding fee) 라고 합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펀딩피 지급내역을 어디서 볼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선물거래는 롱(Long) 포지션과 숏(Short) 포지션으로 이루어져있으며 펀딩피는 다음과 같이 지불 됩니다.
바이낸스에서는 펀딩피(funding fee)를 '펀딩 금리' 라고 말하고 있으며 위에서 보이는 사진과 같이 펀딩 비율이 양수이면 롱이 숏을 지불, 음수이면 숏이 롱을 지불한다고 합니다.
즉, 펀딩 금리가 양수이면 롱(Long) 포지션 사람들이 숏(Short) 포지션의 사람들의 펀딩금리를 대신 수수료를 지불하는 것이며 펀딩금리가 음수이면 그 반대가 되는것 입니다.
현재 보이는 코인의 선물거래는 펀딩피(펀딩금리)가 음수로 되어있습니다. 이 경우 숏(Short) 포지션이 롱(Long) 포지션에게 수수료를 지급하게 됩니다. 수수료를 지급하게 되는 기준은 바로옆 스탑리밋에 따라 결정되며 스탑리밋이 00:00 이 되는순간 자동으로 지급됩니다.
※ 그렇다면 펀딩피(펀딩금리)가 마이너스인 상태에서 롱(Long) 포지션을 잡고 수수료 지급/지불 내역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펀딩피(funding fee) 지급/지불내역 확인하기
1. 바이낸스 앱을 키고 상단 우측에 '더보기' 를 클릭합니다.
2. 상단에 보이는 '선물' 을 클릭합니다.
3. 우측 상단에 · · · 을 누르고 내역을 클릭합니다.
4. 전송내역 클릭하시고 보시면 펀딩_수수료로 USDT가 지급된걸 보실 수 있습니다.
(또는 수수료를 지급한 내역을 볼 수 있습니다.)
5. 펀딩_수수료를 상대방꺼와 같이 지불하게 되면 -(음수)로 기록됩니다.
그런데 막상 펀딩피(펀딩금리)를 받았는데 USDT가 보이질 않습니다. 어떻게 된 것일까요?
받게된 펀딩피는 현재 포지션에 추가로 자동진입하게 됩니다. 추가로 포지션이 늘어났으니 조금씩 청산 가격도 변동하는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펀딩피(funding fee)는 왜 있는것일까요?
거래소입장에서는 펀딩피를 받을 수 없는 구조입니다. 위에서도 말했듯이 롱(Long) 포지션과 숏(Short) 포지션 간의 수수료 지급 구조이기 때문이죠. 거래소 입장에서는 이익이 전혀 안됩니다.
펀딩피는 무기한선물계약과 같은 시스템에서 도입되었습니다. 기한이 있는 선물거래의 경우 정해진 날짜에 지급을 받게되지만 무기한 선물계약은 포지션을 종료하지 않은 이상 계속 들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죠. (청산가격이 도달하지 않는 이상)
오늘은 펀딩피(funding PNL, 펀딩 및 정산 - 코즈코즈 fee, 펀딩금리)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선물거래를 처음하시는 분들이 펀딩피 개념을 모르고 거래하시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은걸 깨달았습니다. 펀딩피의 원리를 알고 트레이딩을 하면 선물거래를 하는데 있어 더욱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네이버 라인 링크코인 분석 및 전망
- [비트코인 선물] 교차 vs 격리
- 메타디움 코인 분석 및 전망
- 컴파운드(Comp) 코인 분석 및 전망
댓글 15
여니 2021.03.PNL, 펀딩 및 정산 - 코즈코즈 10 15:38 더보기
질문이 있습니다. 받은 펀딩 수수료는 자동진입한다고 하셨는데요
제가 coin-m / BNB 코인 격리 1배수 / 숏 으로 해서 전송내역에 펀딩 수수료를 받았다고 나오는데 출금가능에는 BNB 코인이 하나도 안나오더라구요.
이거 자동진입을 혹시 안하는 방법 없을까요? 수수료만큼만 따로 뗼 수는 없나요?
답글
테더(USDT)확인해보시면 펀딩피가 들어와있을거에요.
펀딩비가자 2021.03.18 17:32 더보기
안녕하세요 바이낸스 펀딩비 관련 질문 드립니다. 1배 격리 coin m으로 하고 있습니다. 펀딩비가 들어오면 포지션에 증거금으로 채워지더군요. 이럴경우 계약사이즈는 그대로고 증거금만 늘어나면 처음계약사이즈 로만 계속 펀딩비 받는거죠??복리로 받는게 아니라
답글
네 처음계약 사이즈로 받습니다.
펀딩비초보 2021.03.27 17:47 더보기
안녕하세요. xrpusd 무기한으로 1배숏을 했는데 펀딩비내역을 선물- 전송내역에서 1일 3번이 지났는데도.. 확인 할 수가 없습니다. 제가 무엇을 잘못한것일까요. 매도 숏이 되었는 상태인데;; 펀딩비가 내역도 확인안되구 들어오는지도 모르겠네요;;ㅠㅠ
답글
숏 포지션일때 펀딩금리가 +면 받게되는데 내역에도 없으면 문의를 한번해보시는게 나을거 같습니다.
ㅇㅇ 2021.04.17 18:38 더보기
즉, 펀딩 금리가 양수이면 롱(Long) 포지션 사람들이 숏(Short) 포지션의 사람들의 펀딩금리를 대신 수수료를 지불하는 것이며 펀딩금리가 음수이면 그 반대가 되는것 입니다.
현재 보이는 코인의 선물거래는 펀딩피(펀딩금리)가 음수로 되어있습니다. 이 경우 롱(Long) 포지션이 숏(Short)에게 수수료를 지급하게 됩니다.
설명과 예시가 반대로 바뀐거 아닌가요 ? 이해가 안가네요 ;;
답글
ㄹㅇ 2021.04.21 21:05 더보기
말씀해 주신 부분이 맞으며 바로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펀딩금리 복리로 2021.05.10 15:57 더보기
펀딩비가 들어오면 포지션에 증거금으로 채워지면 복리투자가 않돼는데 격리인경우 마진제외해서 받은 펀딩비를 찿을 방법은없나요! 증거금으로 자동으로 들어가면 하는 의미가 없는데요?
답글
펀딩피를 받으면 선물계좌 잔고에 usdt가 있을겁니다. 숏1배로 치시는 분들은 그렇게 펀딩피만 받아서 하는경우도 있더라구요.
요바비 2021.08.11 17:29 더보기
격리로 현재 롱을 잡고 있구요. 현재 3주정도 지나자 증거금이 100불에서 50불까지 깎였습니다. 혹시 증거금이 0가 되면 청산 당하나요? 그렇다면, 포지션 청산 당하지 않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나요?
답글
베베 2021.08.29 22:09 더보기
초보라 몰라서 질문합니다
3주간 수익이 별로 없으셨나요?
증거금이 그렇게까지 사라지다니..
무기한롱 2021.09.09 03:11 더보기
저도 요바비님처럼 5주정도 깍인 펀딩피채워가며 포지션 유지중인데 증거금이 0이되면 어떻게되는지와 깍인상태에서 상승하면 처음의 증거금만큼의 수익이 나는지등 너무 궁금합니다.. 그래야 대응할수 잇을거같아서.
답글
미이호 2021.10.01 22:10 더보기
펀딩피를 줘야하는 상황에서도 제가 가지고 있는 포지션에서 자동으로 펀딩피가 자동으로 자감되는건가요? 그리고 수익쪽은 펀딩피가 차감된 수익을 보여주는게 맞나요?
답글
비트맥스 마진거래 가이드, 이익, 손실 PNL, 펀딩 및 정산
- 거래 대시보드의 주문하기 탭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주문을 하실 수 있습니다.
- 거래자의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이 이루어질 경우, 해당 주문이 제출되기 전에 시스템 상에서 거래자의 개시마진 (개시 증거금)이 사용가능 잔고 (사용가능 금액)에 확보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해당 상품에 대한 거래자의 기존 포지션이 존재하는 경우, 시스템 상에서 유지마진 (유지 증거금) 및 PNL, 펀딩 및 정산 - 코즈코즈 손익의 변동을 충당할 수 있는 충분한 잔액이 있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충분한 자금 (잔고)이 있을 경우, 주문이 수락됩니다. 주문이 완료되지 않거나 취소된 미체결 주문인 경우에도, 개시마진 (개시 증거금) 만큼 사용가능 잔액에서 차감됩니다.
마진 (증거금), 이익 & 손실 (PNL)
거래를 시작하시기 전에, 우선 개인 계정에 비트코인을 입금하셔야 합니다. 모든 마진 (증거금) 및 손익은 비트코인에 표기됩니다. 거래 전, 마진 (증거금) 용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용어를 이해하시기를 권장해 드립니다.
다음은 개시마진 (개시 증거금)에 대한 중요한 규칙입니다:
- 매수 주문 시, 요구되는 개시마진 (개시 증거금) = (IM * 계약 * 지정된 매수가 * 거래승수). 지정 매수 가격을 사용하는 경우 커미션이 적용됩니다. 그러나, 실질적인 커미션은 최종실행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매도 주문 시, 요구되는 개시마진 (개시 증거금) = (IM * 계약 * 최대 (Limit Offer Price, Best Bid) * 거래승수). 최소 입찰가 (Limit Offer Price) 또는 최우선 입찰가 (Best Bid)를 사용하는 경우, 둘 중에 더욱 높은 쪽으로 커미션이 적용됩니다. 실질적인 커미션은 최종 실행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거래자들의 주문이 포지션 규모를 감소시키는 경우, 이는 개시마진 (개시 증거금)에 반영 또는 부과되지 않습니다.
- 거래자가 시장에서 매수 및 매도 호가 양쪽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경우, 개시마진 (개시 증거금)은 순 매수 호가에 부과됩니다 (매수 호가 주문 - 매도 호가 주문). 현재 포지션 규모를 줄이지 않을 경우, 매도 호가 주문에도 여전히 개시마진 (개시 증거금)이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거래자가 20건의 계약을 100 달러로 체결하고, 15건의 계약을 150 달러로 제시한다면 거래자는 위 계산이 반영된 5건의 매수 호가 주문 (20 - 15) 및 15건의 매도 호가 계약에 대한 개시마진 (개시 증거금)이 부과됩니다.
- 계약이 공정가격 표시 (시장 평균가) 방법으로 책정되는 PNL, 펀딩 및 정산 - 코즈코즈 경우, 개시마진 (개시 증거금)의 계산 방법이 달라지게 됩니다. 매수 주문이 시장 평균가보다 높거나, 판매 주문이 시장 평균가보다 낮게 책정되는 경우, 거래자는 반드시 지정가 및 시장 평균가의 차액을 부담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시장 평균가가 100 달러라고 가정하고, 거래자가 10건의 매수 호가 주문을 110달러로 개시하는 경우, 요구되는 개시마진 (개시 증거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개시마진 (개시 증거금) * 10건의 계약 * $110 * 거래승수) + (100% * 10건의 계약 * ($110 - $100) * 거래승수).
유지마진 (유지 증거금)은 계약의 시장 평균가로 계산됩니다.
모든 거래 포지션에 대해 요구되는 유지마진 (유지 증거금) = (MM * 계약 * 시장 평균가 * 거래승수). 모든 포지션을 종료하기 위해 적용되는 커미션도 유지마진 (유지 증거금)의 요건에 추가됩니다. 이는, 청산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마진 (증거금)입니다.
비트멕스는 마진 (증거금)에 대한 정책을 개정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개정이 있을 경우, 모든 거래자들에게 이메일을 통해 공식적인 공지가 이루어집니다.
비트맥스의 무기한 계약은 펀딩 대상입니다. 펀딩 계산식의 예시는 각 무기한 계약 세부정보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비트멕스에서는 무기한 계약의 펀딩 내역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선물계약은 정산이 이루어지는 유일한 계약입니다. 무기한 계약의 특성 상 정산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계약 정산 시, 거래자의 포지션은 정산 가격으로 마감됩니다.
계약 만기 시, 모든 이익 및 손실은 거래자의 비트코인 잔고에 추가되며, 더 이상 거래자의 포지션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비트멕스 에서 수행한 모든 계산은 최종 수치입니다.
시장교란 Market Disruption Event (MDE)
비트멕스가 일시적으로 거래를 중단하는 경우, 시장교란 (MDE)이 공식적으로 발생 할 경우 발표됩니다. 이러한 시장교란 발생으로 인해 거래자들의 계약에 대한 정산 또는 만기일의 변경은 이메일을 통해 공지되며, 해당 내용이 거래 대시보드에 게시됩니다.
- 이는, 거래자들의 이메일을 통해 공지되며 해당 내용이 거래 대시보드에 게시됩니다.
시장교란 (MDE) 발표는 비트멕스의 고유 권한입니다.
이 글은 투자조언이 아니며 투자에 대한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가상화폐는 365일 24시간, 전세계에서 진행되는 거래와 특성상 가격변동이 실시간으로 급변할 수 있어 투자위험성이 높음을 유의하시고 투자대상의 백서나 명세서를 확인하신 뒤 투자하기를 권장합니다.
비트코인에 미치다
무기한 선물 거래를 하다보면 일정시간 마다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요 그것이 오늘 알아볼 펀딩피(funding fee) 라고 합니다 펀딩비는 코인 선물 거래에서 활용되는 수수료 개념의 비용입니다 . 일반적인 선물 시장에서는 만기일과 월물이 존재하고, 만기일에 도래할수록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에 수렴하게 됩니다. 하지만 만기일이 없는 암호화폐의 무기한 선물 시장에서는 선물 가격이 저세상(?)으로 가지 않게끔 제어해주는 장치가 필요한데요, 그 장치가 바로 펀딩비, 또는 펀딩피(Funding fee)로 불리우는 녀석이랍니다.
- 매수 포지션(롱) 유지하는 사람들이 많은 경우에는 매도 포지션(숏)에게 펀딩 비율만큼 펀딩비를 지불
- 매도 포지션(숏) 유지하는 사람들이 많은 경우에는 매수 포지션(롱)에게 펀딩 비율만큼 펀딩비를 지불
- 펀딩 비율이 양수(+)일 경우, 매수자가 매도자에게 펀딩비를 지불
- 펀딩 비율이 음수(-)일 경우, 매도자가 매수자에게 펀딩비를 지불
바이비트에서는 UTC시간 기준으로 0시, 8시, 16시 하루 세번 펀딩비가 나옵니다
바이낸스에서는 한국 기준 오전 9시, 오후 5시, 오전 1시 하루 세번 펀딩비가 나옵니다
0시~8시 사이의 펀딩 비율이 16시 펀딩비에 적용, 마찬가지로 8시~16시 사이의 펀딩 비율 다음날 0시의 펀딩 비율이 결정됩니다. 즉, 8시에 16시에 주고받게 되는 정확한 펀딩비를 알 수 있습니다.
마진 펀딩
바이비트(Bybit) 펀딩비란? 펀딩비로 수익내는 방법
바이비트(Bybit) 펀딩비란? 펀딩비로 수익내는 방법 글 입니다.
바이비트(Bybit) 회원가입 후 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마진거래가 공매수(롱), 공매도(숏) 양방향 거래인데 한방향으로 너무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둔 기능입니다.
펀딩비 비율이 낮을수록 마진거래가 균형적으로 거래되고 있다는것을 의미합니다.
펀딩 비율은 각 코인 거래 상품마다 차트위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공매수(롱) 포지션을 잡고있는 사람이 많은 경우에는 공매도(숏) 포지션을 잡고있는 사람에게 펀딩 비율만큼 펀딩비를 지불하게됩니다.
펀딩 비율이 양수(+)일 경우, 공매수(롱) 포지션이 공매도(숏)에게 펀딩비를 지불
공매도(숏) 포지션을 잡고있는 사람이 많은 경우에는 공매수(롱) 포지션을 잡고있는 사람에게 펀딩 비율만큼 펀딩비를 지불하게됩니다.
펀딩 비율이 음수(-)일 경우, 공매수(숏) 포지션이 공매도(롱)에게 펀딩비를 지불
바이비트(Bybit) BTCUSD 펀딩비 양수(+)상태
인버스 무기한 계약 BTCUSD 양수(+) 상태인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대로 카운트다운이 종료된다면
공매수(롱) 포지션은 펀딩비를 받고, 공매도(숏) 포지션은 펀딩비를 지불하게 됩니다.
바이비트(Bybit) XRPUSD 펀딩비 음수(-)상태
인버스 무기한 계약 XRPUSD 음수(-) 상태인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대로 카운트다운이 종료된다면
공매도(숏) 포지션은 펀딩비를 받고, 공매수(롱) 포지션은 펀딩비를 지불하게 됩니다.
바이비트(Bybit) 거래소 기준 01:00, 09:00, 17:00 하루에 총 세번 펀딩비가 지급 또는 지불됩니다.
09:00~17:00 펀딩 비율 -> 01:00 적용,
17:00~01:00 펀딩 비율 -> 09:00 적용,
01:00~09:00 펀딩 비율 -> 17:00 적용됩니다.
인버스 무기한 계약에서 거래상품을 선택합니다.
비트코인(BTCUSD), 이더리움(ETHUSD), 이오스(EOSUSD), 리플(XRPUSD)
격리마진 레버리지(1배)로 설정 후 (숏1배로 설정하면 원금이 보존됩니다) 공매도(숏) 포지션으로 진입합니다.
지정가로 진입하면 거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시장가로 진입하면 거래 수수료를 지불해야함)
하루 3번 지급되는 (01:00, 09:00, 17:00) 펀딩비를 받습니다.
※ 공매도(숏) 레버리지 1배로 설정하면 원금이 보존됩니다.
※ 코인 하락장에는 펀딩비를 지불해야 할 수 있습니다.
바이비트(Bybit) 펀딩비 수익률
(공매도(숏) 1배 레버리지로 진행했을시)
비트코인(BTC) = 2020년 12%, 2021년 28%
이더리움(ETH) = 2020년 15%, 2021년 27%
리플(XRP) = 2020년 16%, 2021년 22%
이오스(EOS) = 2020년 14%, 2021년 20%
0 개 댓글